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초.중등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8.14
  • Accepted : 2012.09.20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the view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by 2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51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using a questionnaire with 4 main domains (i.e., curriculum and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and assessment) and a total of 48 sub-elements. The analysis of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ut their priority on the curriculum and content domain, while middle school counterparts di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domain. The teachers commonly agreed with instruction which foster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constructs the curriculum tailored to students' diverse levels, and establishes appropriat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d more than middle school teachers with regard to the 23 elements related to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contrast, middle school teachers agre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as for only 2 elements (instruction foster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nd instruction elici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is paper include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related to Korean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 수업을 알아보기 위해 4개의 대영역(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수 학습, 교실환경 및 수업 분위기, 평가)과 48개 하위 요소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교사 223명과 중학교 수학 교사 151명의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영역을, 중등 교사는 교수 학습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부 요소 별로 살펴보면, 초 중등 교사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 등을 좋은 수학 수업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초등 교사는 좋은 수학 수업과 관련된 23개 요소에 대해서 중등 교사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중등 교사는 수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는 수업, 동기 유발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의 2개 요소에 대해서만 초등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본연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이동환․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2), 171-189.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저자.
  4. 권미선․방정숙 (2009).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231-253.
  5. 김도환․황혜정․김창일․정영옥․박만구․고호경 외 (2010). 2009년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및 평가 방안 연구, 한국창의재단, 2010-2.
  6. 방정숙 (2012).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51(2), 145-160.
  7. 원태현․정성원 (2010). 통계조사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8. 이대현․최승현 (2006).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학교수학회학회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249-263.
  9. 이윤미․강완 (2008). 초등수학수업의 과제제시 및 해결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1(2), 121-139.
  10. 최승현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R 2002-4-3.
  11. Cai, J., Perry, B., Wong, N. Y., & Wang, T. (2009). What is effective teaching? A study of experienced mathematics teachers from Australia, the Mainland China, Hong Kong-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J. Cai, G. Kaiser, B. Perry, & N. Y. Wang (Eds.),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from teacher`s perspective: National and cross-national studies (pp.1-36).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12. Cai, J., & Wang, T. (2010). Conceptions of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within a cultural context: perspectives of teachers from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education, 13, 265-287.
  13. Klieme, E., & Vieluf, S. (2011). Cross-nationally comparative results on teachers` qualification, beliefs, and practice. In Y. Li & G. Kaiser (Eds.), Expertise in mathematics (pp.295-325). NY: Springer.
  1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2nd ed..). Reston, VA: The Author.
  16.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Center for Best Practices and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Washington, DC: NGA Center and CCSSO. http://www.corestandards.org.
  17. Pang, J. S. (2009).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in South Korea. ZDM-The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ematics Education, 41, 349-362. https://doi.org/10.1007/s11858-009-0169-5
  18. Philipp, R. A. (2007). Mathematics teacher`s belief and affect.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257-318).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19. Silver, E. A., & Mesa, V. (2011). Coordinating characterizations of high quality mathematics teaching: Probing the intersection. In Y. Li & G. Kaiser (Eds.), Expertise in mathematics instruc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p. 63-84). New York: Springer.
  20. Sowder, J. T. (2007). The mathematics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257-318).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21. Stigler, J. W.,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New York: Simon & Schuster.
  22. Wilson, P. S., Cooney. T. J., & Stinson. D. W. (2005). What constitutes good mathematics teaching and how it develops: Nine high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2), 83-111. https://doi.org/10.1007/s10857-005-4796-7

Cited by

  1.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포트폴리오 활용 vol.52, pp.2,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2.175
  2. 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에 대한 인식 vol.53, pp.4,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4.449
  3.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Small Talk in Mathematics Classes vol.19, pp.3,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791
  4.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vol.54, pp.4,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4.351
  5. MQI를 이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분석 vol.55, pp.4,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4.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