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n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깻잎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적용을 위한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 Kwon, Woo-Hyun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Gyeong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Jeong-Eon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Kyeong-Yeol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Won-Bo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H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Yun-Shik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ung, Duck-Hwa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권우현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 이원경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 송정언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 김경열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 심원보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과) ;
  • 김윤식 (경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 정덕화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Received : 2012.03.05
  • Accepted : 2012.07.1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icrobiological hazards for plants,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personal hygiene of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perilla leaf farms(A, B, C) located in Gyeongnam, Korea and tested for sanitary indications, fungi and pathogenic bacteria(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As a result, total bacteria and coliform in perilla leaf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4.4~5.2 and 3.4~4.3 log CFU/g, respectively, but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B. cereus(perilla leaf: 2.0~2.4 log CFU/g, stem: 1.4~2.1 log CFU/g, water: 0.7 log CFU/ml, soil: 4.2~5.0 log CFU/g, hands: 3.0 log CFU/ hand, gloves: 2.1~2.4 log CFU/100 $cm^2$, glothes: 1.5~2.8 log CFU/100 $cm^2$) and S. aureus(3.4 log CFU/hand)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and worker's hand from farm A, respectively. However, other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erilla leaf at the harvesting stage was significantly contaminated with microbial hazards.

본 연구는 안전한 깻잎의 생산을 위한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깻잎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수확단계에서 작물, 재배환경 및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미생물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총 96점의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위생지표세균, 곰팡이, 병원성미생물(E. coli O157:H7, L. monocytogens, Salmonella spp., S. aureus 및 B. cereus) 및 공중낙하균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의 경우 깻잎과 토양에서 4.4~5.2 및 6.5~6.6 log CFU/g, 작업자 손에서 4.9~5.6 log CFU/hand, 대장균군은 깻잎과 토양에서 3.4~4.3 및 4.9~5.3 log CFU/g, 개인위생인 작업자 손에서는 2.3~3.4 log CFU/hand 수준으로 세 농장 모두 비슷한 오염도를 나타내었으며 곰팡이의 경우 깻잎에서 최대 4.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E. coli O157:H7, L. monocytogens 및 Salmonella spp.은 모든 농장에서 불검출 되었다. 하지만 S. aureus는 A농장의 작업자 손에서 3.4 log CFU/g 확인되었으며, B. cereus는 깻잎과 줄기에서 2.0~2.4 및 1.4~2.1 log CFU/g, 관개용수 0.7 log CFU/ml, 토양 4.2~5.0 log CFU/g, 개인위생인 손에서는 3.0 log CFU/hand, 장갑과 작업복에서는 2.1~2.4 및 1.5~2.8 log CFU/100 $cm^2$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하기 위해 중금속 및 농약 등과 같은 화학적 위해 요소와 이물 등의 물리적 위해요소 뿐만 아니라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를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지윤, 조현철, 이주현, 구평태, 나영란, 김경아, 김현진, 황인영, 김찬희: 깻잎의 세척방법별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보, 19, 64-71 (2009).
  2. 조준일, 김근성, 박경진, 하상도: 양배추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제어, 한국식품과학회지, 36, 162-167 (2004).
  3. 김수환, 김종신, 최정필, 박종현: 비가공 농수산 식품소재 의 미생물 오염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38, 594-598 (2006).
  4. 강호민, 김일섭: 품종별 숙기별 파프리카 과실의 수확 후 생리 및 품질 비교, 강원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논문집, 18, 61-66 (2007).
  5. 박희옥, 김창민, 우건조, 박선희, 이동하, 장은정, 박기환: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식중독 모니터링 및 추이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6, 280-294 (2001).
  6. 서정은, 이종경, 오세욱, 구민선, 김영호, 김윤지: 신선편이 양배추 제조공정 단계별 미생물 변화: 공기 중 미생물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2, 288-293 (2007).
  7. 김경열, 남민지, 이효원, 심원보, 윤요한, 김세리, 김두호, 류재기, 홍무기, 유오종, 정덕화: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system) 적용을 위한 깻잎의 수확 후 관리시설(APC)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41, 392-398 (2009).
  8. 농림수산식품부: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해설집, pp. 3-23 (2003).
  9.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등에 관한 세부실시요령 (2009).
  10. 정승혜, 허명제, 주정화, 김경애, 오성숙, 고종명, 김용희, 임정수: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250-277 (2006).
  11. 유용만, 윤영남, Quan Juan Hua, 차광호, 이영하: 유통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포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174-181 (2009).
  1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2011).
  13. 이동환, 유정일, 박소연, 노은정, 오창식, 정규석, 윤종철, 허성기: 신선 채소류의 부패에 따른 세균의 다양성 변화 및 세균에 의한 채소 부패 조사, 식물병연구지, 17, 38-43 (2011).
  14. 김세리: 생딸기 주스의 HACCP 구축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15. 농촌진흥청: GAP 인증심사원교육 교재 (2006).
  16. Available from: http://www.fda.gov (2009).
  17. 최진원, 박신영, 연지혜, 이민정, 정덕화, 이규호, 김민곤, 이동하, 김근성, 하상도: 유통 중인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 43-47 (2005).
  18. 김진수, 심원보, 김지훈, 김세리, 정덕화: 서부 경남지역 토마토 농장에서의 위생 미생물의 분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 77-88 (2006).
  19. 배영민, 홍유진, 강동현, 허성기, 이선영: 한국에 유통중인 신선편이 채소류의 미 생물 품질 및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 조사, 한국식품과학회지, 43, 161-168 (2011).
  20. 김종규, 박정영, 김중순: 맨손과 장갑 낀 손의 미생물 오염도 비교,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7, 298-305 (2011).
  21. 정규석, 허성기, 노은정, 이동환, 윤종철, 김계훈: 가축퇴 비와 유기질비료에서 병원성박테리아의 분포도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4, 824-829 (2011).
  22. Ueda, S: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Marcel Dekker Inc, pp. 21-27 (1998).
  23.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2011).

Cited by

  1.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Ginseng and Ginseng Product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s vol.28, pp.4, 2013, https://doi.org/10.13103/JFHS.2013.28.4.319
  2.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for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vol.29, pp.3, 2014, https://doi.org/10.13103/JFHS.2014.29.3.181
  3. Comparison of Growth Kinetics of Various Pathogenic E. coli on Fresh Perilla Leaf vol.2, pp.3, 2013, https://doi.org/10.3390/foods2030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