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Reporting Terms of Government and Media on Risk Communication in Major Food Safety Incidents

주요 식품안전사건에서 정부와 언론이 사용한 보도용어의 차이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3.22
  • Accepted : 2012.08.2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the 18 major food safety incidents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with 10 expert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terms used in reporting of the major food safety incidents on risk communicatio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ormation from the major food safety incidents, discord of terms used from government, local government, media and consumer groups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socioeconomic losses and caused the expansion of the incidents. The survey with 10 expert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ripple effect of reporting terms and the difference in reporting terms. A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65. Therefore, ripple effect of incid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porting terms and we concluded that standardization of term is necessary in reporting of the food safety incid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amo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consumers.

식품안전사건의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차이가 risk commun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8가지 주요 식품안전사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각 사건의 보도에 사용된 용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식품안전사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부, 지자체, 언론 및 소비자 단체가 사건의 보도에 사용한 용어의 불일치는 사건을 확대시키고, 사회경제적 손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보도 및 대응용어의 파급효과차이 정도와 소비자가 느끼는 두 용어의 차이 정도에서 과자 아토피 유발 사건, 포르말린 통조림 사건, 고름우유 사건, 불량만두 사건 등 높은 순위를 차지한 사건들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6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보도에 사용되는 용어에 따라 사건의 파급효과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고, 사건보도 시 용어의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조사 결과는 정부, 기업, 소비자간 성공적인 risk communication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Woo, J.M., Ryeom, T.K., Hwang, J.H., Oh, W.Y., Jang, D.D. and Lee, H.M.: The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Food Risk Factors. J. Fd. Hyg. Safety, 2(2), 11-18 (2007).
  2. Lee, G.O.: Food Risk Communication and Media. J. Fd. Hyg. Safety, 2(2), 19-27 (2007).
  3. Moon, H.K., Yong, M.J. and Jang, Y.J.: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fo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in the Daily Newspapers. J. Korean. Diet. Assoc., 10(2), 143-158 (2004).
  4. Lupton, D.: 'A Grim Health Future' Food Risk in the Sydney Press. Health. Risk & Society, 6(2), 187-200 (2004). https://doi.org/10.1080/1369857042000219751
  5. Lee, E.J.: The Effect of BSE News Reports on Beef Intake. J. Fd. Server. Management, 4, 223-239 (2001).
  6. 정기혜: 환경감시인가 공포감 조성인가, 신문과 방송 12 월호, 한국언론연구재단, 132-139 (2005).
  7. Bahk, G.J.: The Analysis of Food Safety Incidents from 1998 to 2008 in Korea. J. Fd. Hyg. Safety, 24(2), 162-168 (2009).
  8. 신동화, 오덕환, 우건조, 정상희, 하상도: 식품위생안전성학. 한미의학, 서울, 413 (2005).
  9. Lee, G.O. and Park, J.W.: A Frame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The Kimchi Risk in 2005. Korean. J. Broadcasting, 20(5), 260-305 (2006).
  10. 이철호, 맹영선: 식품위생사건백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1. 이철호: 식품위생사건백서II.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12.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서울, 16-17 (2006).
  13. Kim, R., Sung, W.K. and You, B.J.: Management System for Term Standardization. J. Korea. Contents. Assoc., 7(1), 94-98 (2009).
  14. 황윤재: 제6장 소비자의 식품안전정보 이용실태와 시사점, 농업전망 2011(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7-16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