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 of Subjective Performance and Objective Performance in Voucher Service: Focusing on Organization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Level

바우처 서비스 제공기관의 객관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의 연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관운영의 효율성과 이용자 만족도 차원을 중심으로-

  • Shin, Chang-Hwa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 신창환 (경북대학교 보건복지학부)
  • Received : 2011.08.01
  • Accepted : 2012.04.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Previous performance evaluation focusing on objective data of service agency has the limitations that did not reflect user-centered evaluation. With the expansion of voucher service, importance of perspective of service user such as satisfaction index is increasing. As voucher service has been delivered by the financial burden of government and user, we ne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both performance indices to meet the accountability of two stake-holders. So this study focuses on deriving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developing systems what mixed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Data used in this study is collected form 70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deliver voucher service and 1445 service users. Using General Satisfaction Index and Efficiency Index by DEA, this study analysed the correlation between efficiency and satisfaction index, and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s constructed through portfolio map.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ains the relation of o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and gives practical guidance i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and interpretation of performance.

기존의 성과평가 모형은 공급자 중심의 객관적 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평가모형으로서 이용자 중심의 평가가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최근 들어 이용자 중심의 성과평가가 강조됨에 따라 이용자 만족도가 성과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바우처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정부와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에 있어 재원을 부담하는 바우처의 속성상, 정부와 이용자에 대한 책무성을 담보하여야 할 필요성에 따라 정부 측면과 이용자 측면의 평가지표가 모두 반영되는 평가모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성과평가의 기준의 활용과 해석에 대한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주관적 성과와 기관운영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객관적 성과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지역개발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설문자료이며 총 70개 서비스 제공기관과 이용자 144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종합만족도 지수 산출방식을 적용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자료포락분석(DEA)기법을 적용하여 효율성 지수를 산출한 후, 두 지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포트폴리오 맵을 활용하여 두 성과지표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바우처 서비스에 있어서 성과평가 기준 간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 설명을 시도하였으며, 실천적 측면에서 성과평가 기준 설정 및 해석에 있어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