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pping Solar Photovoltaic Energy Resource Using LiDAR Data

LiDAR Data를 이용한 태양광에너지 자원도 제작

  • 김광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윤창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조명희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 김성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2.07.26
  • Accepted : 2012.09.18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ecently, people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green energy resource and environment friendly energy resource due to the lack of energy and global warming. This study produced a solar energy resource map using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to check if it is utilized for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lar energy sectors that people pay more attentions to as new recycling energy. This study assigned Ulleungdo(Island) located in Gyeongsangbuk-do as a target area. This study created the contour line with 1 meter by newly photographing LiDAR and data processing. And using this contour line, this study built DEM(Digital Elevation Model) data with 1 meter. The incidence range depending on the altitude and azimuth of sun using DEM data is used to evaluate solar energy resource. This is expected to suggest an accurate method to evaluate more reliable and more precise information of new recycling energy resource by producing solar energy resource map based on accurate and precise spatial resolution data with 1 meter level.

최근 에너지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유한에너지 부족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 발생 등 지구환경이 변화함으로써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친환경 에너지자원 확보 및 신재생에너지 자원량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공간정보기술과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 에너지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태양광에너지 자원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경상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울릉군의 울릉도를 선정하였다. 울릉군 지역의 항공 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신규 촬영 및 자료처리를 통하여 1m급 등고선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1m급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구축하였다. DEM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 고도 및 방위각에 따른 태양광 입사범위를 파악하여 태양광에너지 평가 기술에 활용하였으며, 1m급의 정밀하고 정확한 공간해상도 자료를 기반으로 태양광에너지 자원도를 제작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 반영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신재생에너지 자원량 평가 방법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원. 2011. 소방방재 지리정보 시스템(DGIS) 운영체계 구축보고서. 90-91쪽.
  2. 국토지리정보원. 2007. 다차원 공간정보 구축 기술용역. 기술용역결과 보고서. 39-49쪽.
  3. 국토해양부. 2006. LiDAR를 이용한 NGIS DB의 효율적 구축 및 수정.갱신 방안 연구보고서. 9-10쪽.
  4. 김호용, 백호종. 2010. GIS Simulation을 이용한 태양광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91-100.
  5. 여창건, 서근순, 송재우. 2011.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75-76.
  6. 윤훈주. 2011. 3D-GIS를 이용한 공동주택단지의 태양에너지잠재량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쪽.
  7. 장안진, 김형태. 2008. 항공사진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66-173.
  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09. 3D 영상기반 적지해석 기술 개발보고서. 21-22쪽.
  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10. 3차원 영상기반 신재생에너지 유망단지 분석 시스템 개발보고서. 2-3쪽.
  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11. 3차원 공간정보 기반 신재생에너지 현장평가 시스템 개발보고서. 1-2쪽.
  11. Gastli, A. and Y. Charabi. 2010. Solar electricity prospects in Oman using GIS-based solar radiation map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2):790-797. https://doi.org/10.1016/j.rser.2009.08.018
  12. Jenks, G.F. and F.G. Caspell. 1971. Error on choropleth maps: definitions, measurement, and reductio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1(2):217-244. https://doi.org/10.1111/j.1467-8306.1971.tb00779.x
  13. Mutlu, S., A. Cabuk and Y. Guney. 2011. GIS based site determination model for productive solar farm: a case study in Eskisehir. Proceeding of the ISOPE Pacific Asia Offshore Mechanics Symposium. Hawaii, USA. June 24, 2011. pp.499-505.
  14. Newcomb, D. 2012. Using GRASS GIS to model solar radiation on North Carolina aquatic habitats with canopy data. Transactions in GIS 16(2):161-176. https://doi.org/10.1111/j.1467-9671.2012.01313.x

Cited by

  1. Calculating the Sunlight Amount for Buildings Using SAS: A Case Study of Gyeongsan City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159
  2. Study on the Variation Characteristic of the Photo-Volatic Power Generation due to Regional Meteorological Elements vol.23, pp.11,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11.1943
  3. Producing Firefighting Vulnerability Maps Using GIS vol.18, pp.3,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