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 홍수취약성 평가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 Kang, Jung-Eun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Lee, Moung-Jin (Korea Adaptation Center for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강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Received : 2012.07.14
  • Accepted : 2012.09.1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ncept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verify the use of a combination of vulnerability index and fuzzy logic to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and mapping in Seoul using GI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identified indicators influencing flo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include indicators of exposure to climate(daily max rainfall, days of 80mm over), sensitivity(slope, geological, average DEM, impermeability layer, topography and drainage), and adaptive capacity(retarding basin and green-infra). Also, this research used fuzzy model for aggregating indicators, and utilized frequency ratio to decide fuzzy membership values.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days of precipitation above 80mm, the distance from river and impervious surface have comparatively strong influence on flood damage. Furthermore, when precipitation is over 269mm, areas with scare flood mitigation capacities, industrial land use, elevation of 16~20m, within 50m distance from rivers are quite vulnerable to floods. Yeongdeungpo-gu, Yongsan-gu, Mapo-gu include comparatively large vulnerable areas. This study improved previous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by adopting fuzzy model. Also, vulnerability map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regarding priority areas for implementing flood mitigation policies.

본 연구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 개념을 서울시에 적용, 적정 홍수 취약성 지표 산정 및 퍼지모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분야 중 홍수취약성을 평가하고 GIS를 이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기후노출(일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 80m 이상인 날 수), 민감도(침수지역, 경사, 지질, 고도,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 토양 및 불투수면적) 및 적응능력(홍수조절능력, 자연녹지, 공원녹지) 등의 자료이며, 이를 GIS 기반의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표값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했으며, 퍼지소속값 결정을 위해서는 빈도비를 활용하였다. 2010년 침수 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항목들간의 상관관계 및 퍼지소속값을 산정하였으며, 2011년 침수 발생 지역으로 작성된 취약성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지역 홍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는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수, 하천과의 거리, 불투 수층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최대강수량이 269mm 이상일 때 적응능력(유수지, 녹지)이 부족하고, 고도가 16~20m 정도이며 하천에서 50m이내에 인접한 지역, 공업용지에서 홍수취약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영등포구, 용산구, 마포구 등 한강 본류의 양안에 위치한 구들이 비교적 취약지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의 개념을 적용하고, 방법론으로 퍼지모형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취약성 평가기법을 개선하였으며 평가결과는 홍수예방정책에 대한 우선지역 선정과 의사결정의 주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은, 이명진, 구유성, 조광우, 이재욱. 2011.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수립: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 건설기술연구원. 2009. 이상기후에 대비한 GIS 기반의 홍수방어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연구.
  3. 고재경, 김희선. 2009.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4.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2011.
  5.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부. 201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6. 국토연구원. 2010. 도시경쟁력과 기후변화. 라미아 카말차우이, 알렉시스 로버트 엮음, 국토연구원 옮김, 2010 KRIHS 번역총서.
  7. 기상청. 2011. 지역기후변화정보 어떻게 활용 해야하나.
  8. 김현주. 2010. 방재를 고려한 도시계획. 방재연구 12(4):15-24.
  9.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9. 도시계획론. 보성각, 서울.
  10. 도시재생사업단. 2010. 도시자연재해 안전기술 개발.
  11. 명수정. 2011. 공간분석을 활용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물과 미래 44(2):57-62.
  12. 백경혜, 이명진, 강병진.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36-149.
  13. 배덕효, 이문환. 2010.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 평가와 사례분석. 국토 344:20-31.
  14. 서울시. 2011. 서울특별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2012∼2016).
  15. 서울시. 2012. 서울통계.
  16. 손민우, 성진영, 정은성, 전경수.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 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4(3):231-248.
  17. 오현주. 2010. GIS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금-은 광물 부존적지 선정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3.
  18.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5쪽.
  19. 이명진, 강정은. 2012. 빈도비 모델과 GIS를 이용한 침수 취약지역 예측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88-102.
  20. 이명진, 이정호. 2011.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6-51.
  21. 임은선. 2009. 퍼지이론: 언어변수를 이용하여 상황에 유연한 입지분석하기(국토연구원 편, '알기쉬운 국토연구 방법론', 349-360쪽).
  22. 조경두, 장훈. 2010. 인천지역 기후변화 실태 분석 및 적응대책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3. 환경부. 2010. 서울특별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건강 및 재난분야.
  24. Bonham-Carter, G.F. 1994.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Geoscientists: Modeling with GIS, Pergamon, Oxford.
  25. Choi, J.K.. K.D. Kim, S. Lee and J.S. Won. 2010. Application of a fuzzy operator to susceptibility estimations of coal mine subsidence in Taebaek City,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 59:1009-1022. https://doi.org/10.1007/s12665-009-0093-6
  26. Dessai, S. and M. Hulme. 2003. Does climate policy need probabilities? Tyndall Center for Climate Change Research. UK.
  27. EU Environment Agency. 2010. Urban regions: vulnerabilities, vulnerability assessments by indicators and adaptation options for climate change impactsscoping study. ETC/ACC Technical Paper.
  28. Harris, C., X. Hong and Q. Gan. 2002. Adaptive Modelling, Estimation, and Fusion from Data: A Neurofuzzy Approach. Springer, New York.
  29.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30. Kropp, J.P., A. Holsten, T. Lissner, O. Roithmeier, F. Hattermann, S. Huang, J. Rock, F. Wechsung, A. Luttger, S. Pompe, I. Kuhn, L. Costa et al. 2009. Klimawandel in Nordrhein-Westfalenregionale Abschag der Anfalligkeit ausgewahlter sektoren.
  31. Lee, S. 2007.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fuzzy algebraic operators to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Enviorn Geol 52:615-623. https://doi.org/10.1007/s00254-006-0491-y
  32. Lee, M.M., J.W. Lee, H.J. Oh, J.S. Won and S. Lee. 2011. Ensemble-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in Jinbu area,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doi:10.1007/s12665-011-1477-y.
  33. Lissner, T.K., A. Holsten, C. Walther and J.P. Kropp. 2011. Toward sectoral and standardised vulnerability assessments: The example of heatwave impacts on human health.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112:687-708.
  34. Pradhan, B., S. Lee and M.F. Buchroithner. 2009. Use of geospatial data and fuzzy algebraic operators to landslide-hazard mapping. Appl Geomat 1:3-15. https://doi.org/10.1007/s12518-009-0001-5
  35. Zadeh, L.A. 1965. Fuzzy sets. Inform. Contr. 8:338-353. https://doi.org/10.1016/S0019-9958(65)90241-X

Cited by

  1.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PT (Ephemeroptera, Plecoptera, and Trichoptera) assemblages in the Han River watershed in Korea vol.20, pp.2, 2017, https://doi.org/10.1016/j.aspen.2017.03.024
  2. An Integrat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Mountain Ridgelines Using Spatial Information vol.17, pp.2,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2.107
  3. A Study of the Baekdudaegan and Ridgelines Extra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tilizing GIS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136
  4. Estimating Real-time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at Point-unit Farmland Scale using Fuzzy set vol.20, pp.2,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01
  5. Development of geological information database and smart-sounding-object algorithm vol.54, pp.4, 2018, https://doi.org/10.14770/jgsk.2018.54.4.457
  6.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Seoul considering Gender Factors vol.18, pp.6,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6.301
  7. 침수피해 정보를 이용한 농경지의 지형학적 침수취약지도 작성 - 진주시를 사례로 - vol.19, pp.3,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3.051
  8.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도시홍수 피해지역의 지역적 공간특성 분석 vol.23, pp.1, 2012, https://doi.org/10.14249/eia.2014.23.1.39
  9. 기후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오염총량관리제 토지계 오염부하량 산정 방식 개선 vol.30, pp.2, 2012, https://doi.org/10.15681/kswe.2014.30.2.212
  10. Method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s - Focused on Sabat and Pilbongoreum community in Busan, Korea vol.51, pp.2, 2012, https://doi.org/10.17208/jkpa.2016.04.51.2.229
  11. Impact of Uncertainty on Detailed Indicators and Decision Making on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vol.19, pp.7,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9.19.7.485
  12.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hemical Accident in Terrestrial Ecosystem:(1) Focusing on the Trees vol.42, pp.5, 2012, https://doi.org/10.4491/ksee.2020.42.5.229
  13. Comparison of Fuzzy AHP and AHP in Multicriteria Inventory Classification While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 for Resilient Stream Ecosystems vol.12, pp.21, 2012, https://doi.org/10.3390/su12219035
  14.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hemical Accident in Terrestrial Ecosystem: (2) Focusing on the Herbs vol.42, pp.12, 2012, https://doi.org/10.4491/ksee.2020.42.12.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