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병원 내 간호사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과제와 연구방향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Nurses: Challenges and Research Directions

  • 김광점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 투고 : 2012.02.20
  • 심사 : 2012.03.03
  • 발행 : 2012.03.30

초록

Nurses are critical human resources for the hospitals. However, in Korean hospitals,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for nurses are not well established, and nurses' turnover rates are very high. Although the causes and tasks for shortage of nurses are analyzed, suggestions for the specific ways of HRM management practices for hospital managers are rare. In this article, the management challenges for nurses are discussed, and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del for nurses are suggest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opics a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인선(2009), 일 가정 양립형 일자리 나누기 사례: 중소병원 간호인력의 다양한 근무형태, 노동리뷰, Vol.5월호;16-26.
  2. 이윤정, 김귀분(2008), 임상간호사의 이직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Vol.38(2);248-257.
  3. 김원옥, 문숙자, 한상숙(2010), 비정규직 간호사의 소진과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Vol.40(6);882-891.
  4. 안양희, 김대란, 서복남, 이경의, 이은하, 임은실 (2002), 간호사의 인간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32(3);295-304.
  5. Renee C. Fox (1989), The Sociology of Medicine. Prentice-Hall: New Jersey (조혜인 역(1993), 의료 의사회학, 나남: 서울), pp.87-144, 131-132.
  6. 이병숙, 강성례, 김혜옥(2007), 임상간호사의 직무 만족 경험: 초점집단 연구방법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Vol.37(1);114-124.
  7. Jeffery Pfeffer (1998), The Human Equation: Building Profits by Putting People Firs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윤세준, 박상언 역(1998), 휴먼 이퀘이션, 지샘: 서울), pp.19-138.
  8. 배종석(2006), 사람기반 경쟁우위를 위한 인적자원론, 홍문사, pp.3-76.
  9. 양혁승(2007), 사람중심경영 실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부설 뉴패러다임센터, pp.1-121.
  10. 김은정(1997), 응급실 일반간호사의 역할정립을 위한 업무분석, 대한간호학회지, Vol.28(1);93-103.
  11. 권성복, 조경숙, 박영숙, 김동옥, 이여진, 이은희 (2008),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Vol.14(1);72-84.
  12. 고유경, 이태화, 임지영(2007),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Vol.37(3);286-294.
  13. 박성애, 박광옥, 김세영, 성영희(2007), 표준화된 간호사 인사고과 도구개발, 임상간호연구, Vol.13(1);197-211.
  14. 강경화, 김인숙(2005),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병원 간호단위의 조직성과 평가지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Vol.35(3);451-460.
  15. 최윤정, 임지영, 이영휘, 김화순(2008), 균형성과표를 이용한 중환자실 간호부서의 핵심성과지표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Vol.38(5);656-666.
  16. Robbins, SP and TA Judge(2012), Essentials of Organizational Behavior, 11th ed, Pearson, pp.114-129.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Work Intensity and Physical Discomfort on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vol.22, pp.4,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62
  2.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vol.22, pp.2,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58
  3.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 to return to practice (work) of inactive RNs vol.27, pp.3,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3.791
  4. A Thematic Analysis of Nurses' Work-Family Balance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vol.17, pp.2,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446
  5.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place Bullying among Korean Nurses vol.10, pp.3, 2016, https://doi.org/10.1016/j.anr.2016.06.004
  6. 중소병원 간호사의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관리의 지식과 수행정도 vol.6, pp.3,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3.157
  7.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vol.15, pp.1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50
  8.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vol.18, pp.2,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7.18.2.206
  9. 한국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26, pp.2, 2012, https://doi.org/10.5807/kjohn.2017.26.2.114
  10. 간호사의 교대근무유형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피로, 업무오류건수 비교 vol.24, pp.2, 2012,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2.170
  11.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규간호사 이직률 예측 vol.9, pp.9, 2012, https://doi.org/10.15207/jkcs.2018.9.9.431
  12. 병원간호사의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3, 2018, https://doi.org/10.12811/kshsm.2018.12.3.053
  13. 임상간호사의 위계지향적 간호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vol.24, pp.3, 2018,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3.313
  14. Comparison of Job Quality Indices Affecting Work–Life Balance in South Korea According to Employee Gender vol.17, pp.13, 2020, https://doi.org/10.3390/ijerph17134819
  15. 우리나라 병동 간호사의 병원 특성이 재직률, 근무기간 및 퇴직에 미치는 영향: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S)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vol.50, pp.6, 2012, https://doi.org/10.4040/jkan.2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