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tial Factors to the Oral Hygiene Behavior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Sook-Je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imcheon University) ;
  • Kim, Chang-Hwan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hoonhae college of health sciences) ;
  • Choi, Gyu-Yil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이숙정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창환 (춘해보건대학 보건행정과) ;
  • 최규일 (대구보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1.11.18
  • Accepted : 2012.02.21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t of fundamental data for the oral hygiene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oral hygiene and subjective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an aged society. For this purpose, 269 elders who dwelled in Gyeongsangbuk-do region were randomly selected in an arbitrary selection process, followed by a survey on their oral hygiene and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and processed by using SPSS 15.0 software. A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basic item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oral health were analyzed for their frequency and percentages, whi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wareness on the oral health were processed with Chi-square validation to show a set of results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items on the oral health, the satisfaction o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ir oral health was below average. Secondly, concerning the oral hygienic behaviors, the majority of the samples answered that they were brushing their teeth twice a day. And, as for the brushing methods, the largest number of the samples answered that they were brushing their teeth in a 'horizontal direction'. Thirdly, they reported they were having difficulties in getting dental treat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und oral health education to them to correct the inappropriate oral hygienic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서순규(1992), 성인병, 고려의학, pp.55-59.
  2. 권현숙 외(2007), 구강보건교육학, 청구문화사, pp.34-38.
  3. 구영경(2010), 노인의 구강위생행태와 주관적 구강 건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5-7.
  4. Willits, F. & Crider D. (1998),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r middle years. J Gerontol, Vol.43(1);172-176.
  5. 신은영(1996), 노인의 인지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학회지, Vol.10;135-145.
  6. 강명신, 김종열, 김형규, 김백일(1994), 구강보건인식 , 태도 , 행동 및 지식도가 치태 관련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18(1);144-168.
  7. 최연희(2001), 구강상태와 전신건강과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5-41.
  8. Gilbert, L.(1994), Social factors and self-assessed oral health in south Africa, Communty Dent Oral Epidemiol, Vol.122;47-51.
  9. 권현숙, 박금자, 이진희, 이형숙, 최병옥(2007), 치과임상심리학, 서울:고문사, pp.23-27.
  10. 유봉현(2007), 치과위생학 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pp.86-91.
  11. 김혜경(2002),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 관련된 요인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5-8.
  12. 신선미(2010), 노인의 구강보건교육 경험 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54-57.
  13. 박지영(2010), 익산시 일부 농촌지역 거주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 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9.
  14. 보건복지부(2006), 2006년도 구강보건사업안내, 보건복지부, p.4.
  15. 박지혜, 정성화, 이가령, 송근배(2008), 일부 농촌 지역 노인들의 치아상실이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32(1);63-74.
  16. 채주영(2008), 노인계층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65-74.
  17. 김은숙, 김영복(2002), 일개 산업장 근로자의 검진 유형별 일상생활 구강건강인지 수준 및 영향 요인분석, 건강증진학회지, Vol.4(1);67-75.
  18. 유상희, 김영임, 이흥수(2008),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관련 삶의 질,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32(4);575-586.
  19. 황지민(2006),노인의 구강보건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6-57.

Cited by

  1. The Perception of elderly oral health care in the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vol.14, pp.5,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715
  2. 도시와 농어촌지역 중·고등학생의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 의식행태 비교연구 vol.6, pp.4,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205
  3. 노인의 구강자각증상에 따른 구강건강행태 vol.16, pp.6,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6.955
  4. 한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평가와 삶의 질 관련성 연구 vol.19, pp.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4.129
  5. 한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평가와 삶의 질 관련성 연구 vol.19, pp.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4.129
  6. 일부 노인의 교육 및 소득정도가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와 치과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vol.10, pp.12, 2020,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1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