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어촌경관 향상을 위한 교량경관의 조망점 및 형태에 관한 경관선호도 분석 -전라남도 여수시 백야대교를 대상으로-

Analysis on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s of View Point Selection and Bridge Shape for Improvement of the Rural Landscape - A Case Study of the 'Baegya Bridge of Yeosu City in Jeollanam-do'

  • 천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이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강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김성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Chun, Hyun-Ji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un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ang, Lo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6.28
  • 심사 : 2012.08.22
  • 발행 : 2012.09.30

초록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3 types of bridge with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4 prospect points named A, B, C, and D will be simulated in one scene for final analysis of bridge image and preference.On prospect point A,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arch bridge. In addition, for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the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at the arch bridge on prospect point B. At the on prospect point C, high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most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At the on prospect point D, lower evaluation is received among the cable stayed bridge and suspension bridge compared with arch bridge. The high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cable stayed bridge. And, The lowest average total preference is received for arch bridge. Cable stayed bridge is suitable for the Baegya Bridge than arch bridge in the Landscape point. In conclusion, the preference for one bridge is not the same at different prospect points through above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4,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조서, 국토해양통계누리.
  2. 김락기, 금기정, 양계승, 임성빈, 2006, 단경간 강박 스거더교의 교량형상계수별 경관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24(2), 7-18.
  3. 박기태, 2005, 전국교량현황분석, 토목관련 주요데이터, 53(5), 129-134.
  4. 서주환, 최현상, 차정우, 2002, 서울시 한강교량 주야간 경관이미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5), 31-38.
  5. 장승필, 1995, 교량과 아름다움, 대한토목학회지 43(1), 79-88.
  6. 정성관, 채소정, 김경태, 이우성, 박경훈, 유주한, 2007a, 교량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5), 82-91.
  7. 정성관, 박영은, 박경훈, 유주한, 김경태, 이우성 2007b,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치교량의 시각적 특성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4), 48-56.
  8. 천현진, 김성균, 2010,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교량의 시각적 특성 평가 -경의선 폐철구간 양화로 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3), 75-82.
  9. 최윤석, 정인영, 안현태, 김정태, 2006, 조망의 변화에 따른 교량 경관조명의 휘도특성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0(6), 1-8.
  10. 이상엽, 오휘영, 조세환, 2002, 도시 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 11-20.
  11.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윤명한, 2011, 농촌지역 어메니티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단양군 어메니티자원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16(0), 67-79.
  13. 허준, 2002, 교량의 시각적 선호도의 차이-한강의 교량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2),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