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sit Care Workers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cusing on Gyeonggi Province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경기도 지역 중심으로-

  • 이현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남희수 (세계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순안 (우송대학교 의료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05.10
  • Accepted : 2012.06.1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75 aged care nurses working in Gyeonggi regions. The analysis result showed: job satisfaction in overall situation was 2.87 on a 5 point scale, indicating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an average: the quality of life was 2.97, as with job satisfaction, also low.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utcomes to discern if it affects the low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variables affecting psychological health include job, pay, co-workers, organization, changing an occupation/job; Social environment include job, pay, and promotion (reward), The maintenance of social relations, pay, promotion(reward) and co-workers, changing an occupation/job; variables affecting physical health include job, pay, promotion(reward), changing an occupation/job; The research outcomes confirm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aged visit care worker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택. (2007). 서울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경애.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제관. (1997).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재가노인복지기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애. (2009).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득건. (2007).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금주. (2009).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진. (2007).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진. (2008).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동욱.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건양대학교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남일재. (2003).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현학사.
  11. 민성길, 김광일, & 박일호. (2002).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지침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연구소.
  12. 박민선.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애경. (2008). 미용사의 직무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보건복지가족부. (2010).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서울: (주)메디스케어.
  15. 보건복지가족부. (2010). 등급판정결과 현황(2010. 4. 30.기준).
  16. 신유근. (1985). 조직행위론. 다산출판사.
  17. 안금선. (2009).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안신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안희정. (2000).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강원대학교지역개발연구소.
  19. 양정인.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염진철. (2003). 임파워먼트(Emporment)가 호텔주방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화논집, 22, 285-297.
  21. 오순자. (2009).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혜경. (1991). 사회복지기관종사자의 직무만족 실태 및 직무만족 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7, 43-70.
  23. 윤건향. (2009).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길자. (2010).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40-43.
  25. 이연주.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영희. (2009).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종옥. (2009). 노인장기요앙기관 요양보호사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제 요인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임희섭. (1996). 삶의 질의 개념적 논의. 한국행정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2. 삶의 질.
  29. 전찬열. (1994). 인사제도가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주복희. (2008). 노인노양보호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민정.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 방문요양서비스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영문. (2009).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인섭. (2000).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최장원. (2007). 노인전문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Benn, A. W. (1973). Quality of Life. AMLWG.
  36. Betty, B. W., & Schinier, C. E. (1981). Personal Administration: An Experimental Skill-Building Approach. New York: Addision Wesley.
  37. Borthwick-Duffy, S. A. (1989). Quality of Lif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W. E. Kiernan., R. L. Schalock (eds.). Economics Industry and Disability. A look Ahead, Paul H. Books Pub., 351-65.
  38.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https://doi.org/10.1037/0003-066X.31.2.117
  39. Conger, J. A. (2000). Motivate Performance through Empowerment. In Locke, E. A. (Eds.), The Blackwell Handbook of Princip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7-149). Oxford: Blackwell Publishers.
  40. Dalkey, N. C., & Roureke, D. L. (1973). The Delphi Procedure and Rating Quality of Life Factors in the Enviormental Procedure Agency. The Quality of Life Concept. Washington D.C.: E.P.A.
  41. Dubos, R. (1976). The state of health and the quailty of life.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25(1), 8-9.
  42. Lehman, A. F., Ward N. C., & Linn, L. S. (1982). Chronic Mental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Issu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0), 1271-1276. https://doi.org/10.1176/ajp.139.10.1271
  43.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e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McNally.
  44. Price, J. L. (1972).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ment. Washington: health and Conpany.
  45. Price, J. L., & Mueller, C. W. (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 Academy of Management Joural, 24, 543-565. https://doi.org/10.2307/255574
  46. Smith, H. C. (1955).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Book Co. Inc.
  47. Spreizter, G. M.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cademy or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 https://doi.org/10.2307/256865
  48. Steers, & Porter, I., W. (1973). Organization,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 151-176. https://doi.org/10.1037/h0034829
  49. Tiffin, & MaCormic, E. J. (1974). Industrial Psychology, 6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50.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John Willy & Sons.
  51. Waiker, S. R., & Rosser, R. M. (1988). Quality of Life Assessment and Application. MTP.
  5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3). WHOQOL Study Protocol. WHO(MNH/PSF/93.9). WHO, Geneva.
  53. Young, P. J. (1973). Date Ruquirments for a Quality Growth Policy in E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