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and Role of Truth as Inflationary Property

실체적 속성으로서의 진리의 개념과 역할

  • Received : 2011.09.23
  • Accepted : 2012.01.12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re are various views in the boundary of deflationism of truth in regarding the nature and role of truth. This paper surveys the issue on how the core thesis uniting the deflationism is characterized. First, I will examine some comments on what is the central thesis supported or rejected by the deflationists and inflationists, mainly discussing Armour-Garb and Beall's work, and will show on which aspects they are unsatisfying. From this, I will suggest these statements: first, the central cores of deflationism are conceptual fundamentality and explanatory exhausting. Second, the particularity thesis, understood in an alternative way, cannot be a central claim of deflationism. Third, another important claim from deflationists, the expression thesis, can be derived from the two main thesis above. But it is still not clear enough what the non-expressive explanatory role of truth, which is denied by the expression thesis. So I will check some possible clarifications on it and discuss why they should be rejected. And I will introduce Dummett's view on the role of truth condition in truth conditional explanation of meaning, and I will claim that if Dummett is right why the role must be a inflated one. Finally, I will suggest a further implication that the understanding on the both sides can be widened by connecting considerations on both views.

본 논문은 진리의 본성과 역할 등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다양하게 엇갈리고 있는 축소주의적 견해를 아우르는 핵심을 어떻게 특징지을 것인가의 이슈를 논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축소주의와 팽창주의가 각각 옹호 및 반대하는 핵심 논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몇 가지 해설들을 아머-갑과 빌의 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어떤 면에서 불만족스러운가를 살펴볼 것이다. 이로부터 축소주의의 핵심은 개념적 기초성과 설명소진성에 있으며, 대안적으로 이해된 형태의 개별성 논제는 축소주의의 핵심이 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축소주의의 또 다른 중요한 주장인 표현 논제는 개념적 기초성과 설명소진성으로부터 도출됨을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표현 논제에서 거부되는 진리의 비-언어적인 설명적 역할이 무엇인가는 여전히 불분명하므로, 그것의 명료화를 위해 시도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한 명료화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왜 거부되어야 하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진리 조건이 수행하는 설명적 역할에 대한 덤밋의 의견을 요약하고, 만약 덤밋이 옳다면 진리의 설명적 역할은 어떤 점에서 팽창적일 수밖에 없는가를 정리할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두 진영에 대한 이해는 두 진영 모두를 아우르는 연결된 고찰을 통해서 더욱 넓어진다는 추가적인 함의를 결론을 대신하여 덧붙일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