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민화 <연화도>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Lotus Flower Painting -

  • 투고 : 2012.01.02
  • 심사 : 2012.05.01
  • 발행 : 2012.08.31

초록

This study aims to collect Minhwa, or folk painting, particularly the Lotus Flower Painting, to analyze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story, and to develop cultural fashion products by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flavor based on the results. Lotus flowers grow from mud, but are unstained, and they bloom beautiful flowers. Thus, they symbolize Gunja, a true gentleman who is very learned and proper in behavior. In Buddhism, lotus flowers are divine flowers that have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life and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Lotus flowers also represent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as well as conjugal harmony and love. Lotus flower painting include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alone as well a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with ducks, white heron, kingfisher, fish, butterfly, crab, or tortoise. Colors that are mostly used in lotus flower paintings is the compatible combination of red and blue (gree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products such as bag accessories, sitting cushions, and kitchen utensils are developed using various designs such as realistically drawn lotus flower, schematized lotus flower, the lotus flower alone, or the lotus flower with kingfisher, crab, or dragonfly, that emphasizing the compatible color combination of red and blue.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창권 (2010),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서울: 북코리아, p. 17.
  2. 동아대학교박물관 편 (2010), 삶의 지혜.향기.꿈 민화와 만나다, 서울: 예맥, p. 4.
  3. 윤열수 (2000), KOREAN ART BOOK 민화 I, 서울: 예경, p. 20.
  4. 김영학 (2004), 민화, 서울: 대원사, p. 53.
  5. 부산박물관 편 (2007), 행복이 가득한 그림 민화, 부산: 민족문화, p. 17, p. 23, p. 26, pp. 30-31, p. 45.
  6. 고연희 (2004), 꽃과 새, 선비의 마음, 경기: 보림, p. 23, p. 54, p. 55.
  7. 윤열수 (2009), 민화의 즐거움, 경기: 종이나라, pp. 14-15, p. 33.
  8. 윤열수 (2000), KOREAN ART BOOK 민화 I, 서울: 예경, p. 13, p. 52, p. 57, pp. 107-109, p. 128, p. 138, p. 139, pp. 152-170, pp. 395-396, p. 401, pp. 407-409, pp. 412-413.
  9. 임두빈 (2008), 한국의 민화 II 꽃과 새 그림, 서울: 서문당, p. 5, p. 10, p. 25, p. 28, p. 33, p. 41, p. 46, p. 51, p. 54, p. 64.
  10. 동아대학교박물관 (2010), 민화와 만나다, 서울: 예맥, p. 52, p. 64, p. 68, p. 146.
  11.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 보림, pp. 47-48.
  12. 이영수 (2002), 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 IV, 대전: 한일, p. 535, p. 632, p. 661.
  13. 고연희 (2004), 꽃과 새, 선비의 마음, 경기: 보림, p. 55.
  14. 고연희 (2004), 꽃과 새, 선비의 마음, 경기: 보림, p. 54.
  15. 리상즈, 리궈타이, 왕만편 (2002), 荷花, 睡蓮, 王蓮-栽培與應用-, 박종한 역 (2007), 연꽃의 세계, 경기: 김영사, p. 34.
  16. 리상즈, 리궈타이, 왕만편 (2002), 荷花, 睡蓮, 王蓮-栽培與應用-, 박종한 역 (2007), 연꽃의 세계, 경기: 김영사, pp. 43-44.
  17. 리상즈, 리궈타이, 왕만편 (2002), 荷花, 睡蓮, 王蓮-栽培與應用-, 박종한 역 (2007), 연꽃의 세계, 경기: 김영사, pp. 44.
  18. 리상즈, 리궈타이, 왕만편 (2002), 荷花, 睡蓮, 王蓮-栽培與應用-, 박종한 역 (2007), 연꽃의 세계, 경기: 김영사, pp. 42.
  19.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 보림, p. 49.
  20. 동아대학교박물관 (2010), 민화와 만나다, 서울: 예맥, p. 59.
  21. 부산박물관 편 (2007), 행복이 가득한 그림 민화, 부산: 민족문화, p. 17, p. 30.
  22. 윤열수 (2009), 민화의 즐거움, 경기: 종이나라, p. 33.
  23. 윤열수 (2009), 민화의 즐거움, 경기: 종이나라, p. 171, p. 158, p. 138, p. 166, p. 395, p. 168, p. 396, p. 413, p. 160, p. 412, p. 162.
  24. 임두빈 (2008), 한국의 민화 II 꽃과 새 그림, 서울: 서문당, p. 54, p. 5, p. 33, p. 41, p. 10, p. 28, p. 64, p. 46.
  25. 동아대학교박물관 (2010), 민화와 만나다, 서울: 예맥, p. 64.
  26.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 보림, p. 47, p. 48.
  27. 임두빈 (2008), 한국의 민화II 꽃과 새 그림, 서울: 서문당, p. 10.
  28. 윤열수 (2009), 민화의 즐거움, 경기: 종이나라, p. 14.
  29. 윤열수 (2000), KOREAN ART BOOK 민화 I, 서울: 예경, p. 139, p. 168, p. 169, p. 167.
  30. 부산박물관 편 (2007), 행복이 가득한 그림 민화, 부산: 민족문화, p. 57.
  31.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 보림, p. 47.
  32. 정병모 (2009), 민화에 나타난 색채의 원리와 실제, 몽골이 붉은 영웅 한국민화를 만나다, 한국민화, 서울: 가회박물관, pp. 85-86.
  33. 정병모 (2009), 민화에 나타난 색채의 원리와 실제, 몽골이 붉은 영웅 한국민화를 만나다, 한국민화, 서울: 가회박물관, pp. 87-88.
  34. 윤열수 (2000), KOREAN ART BOOK 민화 I, 서울: 예경, p. 395, p. 162, p. 163, p. 128.
  35. 이영수 (2002), 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 IV, 대전: 한일, p. 632, p. 661, p. 535.

피인용 문헌

  1. Textile design development using relic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as a cultural content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741/rjcc.2013.21.3.376
  2. Content analysis of embroidery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Beoseonbongips vol.23, pp.4,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5.23.4.705
  3. 사령수(四靈獸) 민화의 도상해석학적 분석에 의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vol.23, pp.2, 2012, https://doi.org/10.12940/jfb.2019.23.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