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fense Style and Insomnia

방어유형과 불면증

  • Joo, Sun-Sik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Cho, Seong-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Lee, Yu-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Lee, So-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og-Ju (Department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주선식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조성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이유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이소진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김석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Received : 2012.05.25
  • Accepted : 2012.06.07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Introduct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fense style of insomnia patients and to grasp the differences in defense style between primary insomnia patients and insomnia patients with histor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 Forty three subjects with insomnia (11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and 32 subjec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138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iagnose insomn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erviews including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SCID-IV) were done. To assess the defense style, self-reported Korean version of Defense Style Questionnaire (K-DSQ)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subjects with insomnia used more acting out (t=3.25, p<0.01), consumption (t=2.66, p<0.01), fantasy (t=3.51, p<0.001), resignation (t=5.42, p<0.001), suppression (t=3.28, p<0.01), projection (t=3.92, p<0.01), splitting (t=4.31, p<0.01), undoing (t=2.66, p<0.01), withdrawal (t=6.72, p<0.001) and isolation (t=3.80, p<0.001), and less omnipotence (t=4.08, p<0.001) and humor (t=3.20, p<0.01). Compared to normal controls,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used more undoing and withdrawal. Compared to subjects with primary insomnia, subjects with insomnia with histor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used more resignation and withdrawal, and less humor.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defenses between primary insomnia patients and insomnia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istory. To evaluate the pattern of defenses through the K-DSQ might provide important clues to differentiate these two conditions.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의 방어기제를 조사하고, 이들 중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들 사이의 방어기제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 : 불면증 환자 43명(주요우울장애 32명, 일차성 불면증 11명)과 정상 대조군 1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위한 구조화 면담과 불면증에 대한 면담을 근거로 불면증과 주요우울장애를 진단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방어기제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형 방어유형질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 :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행동화(t=3.25, p<0.01), 소비(t=2.66, p<0.01), 공상(t=3.51, p<0.001), 체념(t=5.42, p<0.001), 억제(t=3.28, p<0.01), 투사(t= 3.92, p<0.01), 분열(t=4.31, p<0.001), 취소(t=2.66, p<0.01), 철수(t=6.72, p<0.001), 격리(t=3.80, p<0.001)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능(t=4.08, p<0.001)과 유머(t= 3.20, p<0.01)는 덜 사용하였다. 일차성불면증이 있는 경우 정상대조군에 비해 취소, 철수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주요우울장애 병력이 있는 불면증 환자들의 경우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 비해 체념, 철수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유머는 덜 사용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을 가진 사람들 중 일차성 불면증 환자와 주요우울장애의 병력을 가진 환자에서 서로 다른 방어 특성을 보였다. K-DSQ로 측정되는 방어유형을 파악하는 것이 이 두 군을 감별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