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ept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nd Role of Government as a Platformer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 정부의 역할

  • 최원욱 (안양대학교 스마트도시공간연구소) ;
  • 홍상기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 신동빈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 안종욱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2.06.23
  • Accepted : 2012.08.01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Moving forward on smart society, change of the way to solve the spatial issue used in information society is required. In order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trategy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The requirement for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to be socialized and evolved into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latform P. Savalle(2010) sugges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definition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formulated. Several roles of the government as a platformer to create and manage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re suggested.

현재의 공간정보서비스는 스마트 사회의 도래에 따라 정보화 사회에서 축적된 공간정보의 콘텐츠 및 기술적 자산을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걸맞은 모습으로 새롭게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보다 경쟁력 있고 지속적인 자생력을 갖추기 위하여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전환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이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으로 점진적으로 진화하기 위한 소셜화의 요구조건들을 P. Savalle가 제시한 소셜플랫폼이 갖추어야 할 주요 개념을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사회에 대응한 공간정보 서비스의 구현기반으로서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의 정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pps for Democracy, 2009, DC Awards $10,000 Final Prize to iPhone + Facebook App Combo, [Online] Available: www.appsfordemocracy. o r g . d c - awa r d s - 1 0 0 0 0 - f i n a l - p r i z e - t o - iphone-facebook-app-combo/.
  2. Cohen Noam, 2009, "Refining the Twitter Explosion", New York Times, [Online] Available: http://www.nytimes.com/2009/11/09/ business/09link.html.
  3. Goodchild Michael F. 2007, "Citizens as Voluntary Sensors: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the World of Web 2.0", International Journal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Research vol. 2, pp. 24-32.
  4. Jack Dangermond, 2011, "Volunteered Geographic Data is the Future", Geospatial World, [Online] Available: http://www.geospatialworld.net/index. 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 18778&Itemid=111.
  5. Lake Ron and Jim Farley, 2007, Infrastructure for the Geospatial Web. In geospatial web: how geobrowsers, social software and the web 2.0 are shaping the network society, Arno Scharl, ed., pp. 1-26. London: Springer-Verlag.
  6. Metro, 2009, Build Your High Capacity System, Metro Regional Government, [Online] Available: http://www.oregonmetro.gov/index.cfm/go/by. web/id=29903
  7. Savalee, P., et al, 2010, "Platform and method", Sogeti innovation and inspiration.
  8. Sui Daniel Z, 2008, "The Wikification of GIS and Its Consequences: Or Angelina Jolie's New Tattoo and the Future of GI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2, no. 1,pp. 1-5.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7.12.001
  9. Sukumar Ganapati, 2010,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o Increase Citizen Engagement, E-Government/Technology Series", IBM Center for The Business of Government.
  10. Rinner Claus, Carsten KeBler, and Stephen Andrulis, 2008, "The Use of Web 2.0 Concepts to Support Deliberation in Spatial Decisionmaking".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2, no. 5, pp. 386-395.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8.08.004
  11. Rouse Jesse L. Susan J. Bergeron and Trevor M. Harris, 2007, Participating in the Geospatial Web: Collaborative Mapping, Social Networks and Participatory GIS. In the Geospatial Web: How Geobrowsers, Social Software and the Web 2.0 are Shaping the Network Society, Arno Scharl, ed., pp. 13-158. London: Springer- Verlag
  12. 김진성, 2010, 기업생태계를 가꾸는 지혜(이타자리), 삼성경제연구소 SERI 경영노트.
  13. 스즈키 료스케, 2011, 빅데이터 비즈니스, 더 숲, pp. 195-237.
  14. 안종욱, 신동빈, 김정훈, 2010, "효율적 정보관리를 위한 U-City 정보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19-127.
  15. 장재우, 왕태웅, 이현조, 2007, "효율적인 GML 문서 저장을 위한 저장 스키마의 설계 및 성능평가", 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9권, 제2호, pp. 35-53.
  16. 장윤섭, 오재홍, 김경옥, 2007,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17. 황종성, 2009, 지능공간 혁명과 공간정보 서비스, 한국정보화진흥원.
  18. 홍상기, 2009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 19-27.
  19. 최병남외, 2010, 스마트사회의 공간정보정책: 공간정보인프라에서 공간정보플랫폼으로, 국토연구원.
  20. 최병남외, 2011, 공간정보 융복합 가치사슬과 파급효과 분석 연구, 국토연구원.
  21. Tim O'Reilly외, 2012, 열린정부 만들기: 모든 시민이 참여하는 투명한 정부 2.0프로젝트, 에이콘, pp. 49-99.
  22. Carl Atsushi Hirano, 2010, 플랫폼 전략, 더 숲, p.58.

Cited by

  1. Topic Model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Spatial Big Data vol.41, pp.1, 2015, https://doi.org/10.7232/JKIIE.2015.41.1.064
  2.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vol.22, pp.2,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4.22.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