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4판. 서울:고려의학. 2008:103-19.
- 조현희 등. 자궁근종절제 후 불임환자의 임신율을 결정짓는 요인. 대한폐경학회. 2004;10(3):196-204.
- 이상훈 등.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자궁근종 환자의 근종 절제술 후 임신 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49(1):131-8.
- 김석현 등. 자궁근종 불임여성에서 자궁근종절제술 후 임신율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43(1):65-70.
- 김태실 등. 불임환자에서 자궁근종절제술 후 임신성공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39(10):1892-8.
- Marut EL. Etilolgy and pathophysilolgy of fibroid tumor disease:diagnosis and current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alternatives. Obstet Gynecol Surv. 1989; 44:308-10. https://doi.org/10.1097/00006254-198905000-00004
- Starks GC. Co2 laser myomectomy in an infertile population. J Reprod Med. 1988;33(2):184-6.
- Tulandi T et al. Adhension Formation and reproductive outcome after myomectomy and second look laparoscopy. Obstet Gynecol. 1993;82(2):213-5.
-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315-29.
- 박원식 등. 보조생식술(ART)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자궁근종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0; 43(2):2152-8.
- Farhi J et al. Effect of uterine leiomyomata on the results of in-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Hum Reprod. 1995;10(10):2576-8.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humrep.a135748
- Eldar-Geva T et al. Effect of intramural, subserosal, and submucosal uterine fibroids on the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reatment. Fertil Steril. 1998;70(4):687-91. https://doi.org/10.1016/S0015-0282(98)00265-9
- Stovall DW et al. Uterine leiomyomas reduce the efficacy of assisted reproduction cycles: results of a matched follow-up study. Hum Reprod. 1998;13(1):192-7. https://doi.org/10.1093/humrep/13.1.192
- 박성욱 등. 임신중 자궁근종의 초음파진단과 합병증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39(11):2132-7.
- 김소미 등.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 후 임신 15주1일에 발생한 자궁파열 1예.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52(9): 945-9.
- 김수연 등. 고주파 자궁근종 용해술 후 만삭 질식분만의 1예.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51(9):1064-8.
- Berkeley AS et al. Abdominal myomectomy and subsequent fertility. Surg Gynecol Obstet. 1983;156(3): 319-22.
- 沈繼澤 編. 金匱要略.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6:162.
-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상. 파주:집문당. 2008:56, 300, 305,
- 김봄님 등. 월경통에 대한 전침의 임상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4; 17(2):13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