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nts Used as Temple Food in Jeju Island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 송정민 (제주대학교 화학과) ;
  • 양효선 (제주대학교 화학과) ;
  • 선병윤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 김철환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 도선길 ((주)유니베라) ;
  • 김영주 ((재)제주테크노파크 코스메틱클러스터사업단) ;
  • 송관필 ((재)제주테크노파크 코스메틱클러스터사업단)
  • Received : 2012.02.13
  • Accepted : 2012.07.30
  • Published : 2012.08.29

Abstract

We examined plants that were used as temple food in Jeju from May 2011 to January 2012. Thirty-six temp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re were 58 questionnaire respondents. Fifty-seven taxa were used as temple food, which belonged to 27 families, 51 genera, 55 species, and two varieties. The most commonly used family-based taxa were eight species of Compositae, six species of Cruciferae, and four species of Umbelliferae. Ten species of woody plants and 25 species of Jeju native plants were also used as temple food. The most useful part was the leaf, followed by the root, leaflet, and fruit. A patent 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surveyed plants were covered b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ty-eight species had food-related patents, 34 species had cosmetics-related patents, and 38 species had medicine-related patents. The purchase and procurement of Jeju temple food plants usually depended on the market or plant cultivation rather than the use of the plants. Gathering of wild herbs for temple food has been performed on a limited basis. Therefore, collecting traditional knowledge for the use of Jeju plant resources should be conduc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rather than through a temple-related study.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찰에서 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 사찰은 36개 사찰이었고 설문대상자는 58명이었다. 사찰에서 이용하는 식물종은 27과 51속 55종 2변종 총 57분류군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과단위 분류군은 국화과가 8종으로 가장 많고, 십자화과 6종, 산형과 4종 등의 순이었으며, 목본 식물은 10종, 제주지역 자생식물은 25종이었다. 식물체의 이용부위는 잎을 사용하는 종이 19종으로 가장 많았고, 뿌리, 어린순, 열매 순 이었다. 특허검색을 통한 지식재산권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조사식물 대부분이 포함되었고, 이 중 식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48종, 화장품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것이 34종, 의약관련 특허를 가지고 있는 식물이 38종으로 집계되었다. 제주지역 사찰 음식에 사용하는 식물재료의 구입 및 조달 방법은 주변의 식물 활용보다는 시장 또는 재배에 의존하고, 산나물 채취에 의한 사용은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제주 생물자원의 이용에 대한 전통지식의 수집은 사찰 보다는 다른 조건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G.Y., M.S. Park, B.M. Nam, K.N. Hong, J. Jang and C.H. Lee. 2010.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Gyeongsangbuk-do(I). Korean J. Plant Res. 23(5):465-479 (in Korean).
  2. Chung, G.Y., M.S. Park, B.M. Nam, D.H. Jeong, D.H. Lee, Y.H. Shin, H.J. Kim and S.H. Kang. 2011.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24(4):379-394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1.24.4.379
  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82.
  4. Hong, G.J., Y.S. Lee, J.S. Nam, H.K. An and E.J. Lee. 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determinant of buddhist temple food. Korean J. Food & Nutr. 4:387-391 (in Korean).
  5. Im, H.T., H.H. Hong, H.D. Son, M.S. Park, B.M. Nam, B.K. Kwon, C.H. Lee and G.Y. Chung. 2011.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 in Gyeongsangnam-do. Korean J. Plant Res. 24(4):419-429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1.24.4.419
  6. Kim, J.A, and S.Y. Lee. 2006. Evaluation of served menu and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 Korean buddhist temples. J. East Soc. Dietary 16(2):215-225 (in Korean).
  7.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n. Vol. 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8.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n. Vol. I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9.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0.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11. Park, S.M. 2010.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lore on picking wild edible greens. Kor. Folklore 52:137-178 (in Korean).
  12. Sun J. 2002. Nature and zen food in temple.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5(1):33-39 (in Korean).
  13. Yoo, Y.S. and Y.H. Lee. 1996. A study on the dietary life and ntrutionl status of the buddhist priests. J. East Soc. Dietary 6(3):425-434 (in Korean).
  14. 김영인. 1999. 일상식에 이용할 수 있는 사찰음식에 관한 고찰. 상지대학교 논문집 21:299-305.
  15.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2004. 중약대사전. 정담, 서울. p. 5174.
  16. 김한주. 2004. 제주도 약용식물자원에 관한 조사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제주. p. 202.
  17. 문관심. 1984.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백과사전 출판사, 평양. p. 912.
  18. 문화체육관광부. 2008.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 서울. pp. 157-164.
  19. 송미장, 김현, 서혜경. 2005. 한국사찰음식에 이용된 식물들의 민속 약학적 분석. 한국정신과학학회지 9(2):1-16.
  20. 이철호, 김규식, 현창우, 송관필, 강창훈. 2009. 한반도 민속식물 III - 제주도. 국립수목원,경기. p. 226.
  21. 안덕균. 1998.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서울. p. 928.
  22. 장병주. 2011. 한국전통사찰음식의 대중화와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7(2):147-162.
  23. 특허정보검색서비스(http://www.kipris.or.kr).

Cited by

  1. Analysis of Research on Non-Timber Forest Plants vol.104, pp.3, 2015,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