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동결혈장의 적정수혈 분석

Audit of Appropriateness of Fresh Frozen Plasma Transfusion

  • 서유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문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신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현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Seo, Youky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Moon J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inyo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un Ok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12.07.25
  • 심사 : 2012.08.18
  • 발행 : 2012.08.31

초록

배경: 신선동결혈장은 응고인자의 보충을 위한 치료적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지만, 실제로 적응증이 아닌 경우에도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방법: 년 2010년 7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년간 세브란스병원 혈액은행에서 출고된 신선동결혈장의 적정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기준은 2009년 대한수혈학회에서 발간한 수혈가이드라인과 세브란스병원의 수혈적정성 평가 전산시스템에 기초하였다. 결과: 신선동결혈장은 1년 간 총 1,949명에게 4,982회에 걸쳐 17,733단위가 출고되었고, 이 중 1,990회(총 건수의 39.9%)가 부적절 수혈로 평가되었다. 진료과별 사용 건수는 소화기내과 등의 내과 계열이 흉부외과나 일반외과 등의 외과 계열보다 많았다. 그러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외과 계열이 내과 계열보다 높았다. 질병분류별 사용건수와 이들의 부적절 사용 비율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는데, 종양, 소화 계통의 질병, 순환 계통의 질병군이 높은 사용 건수와 부적절 사용 비율을 보였다. 결론: 수혈의 적정성 유지를 위해서는 각 의료기관에서 수혈 적정성이 항상 평가되고, 그 결과를 임상의사들에게 정기적으로 피드백하는 과정이 중요하며, 이와 더불어 신선동결혈장 수혈 적응증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Fresh frozen plasma (FFP) transfusion is administered primarily for management of acquired bleeding disorders. However, in practice, FFP transfusion is increasing without a solid rationale. Methods: We conducted an audit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s for FFP transfusion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10 through June 2011. Assessment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ications was based on the national transfusion guidelines and the transfusion criteria promulgated by the Severance Hospital. Results: In total, 17,733 units of plasma were transfused to 1,949 patients over 4,982 events. We found that administration of FFP was not in compliance with the recommended guidelines in 1,990 events. The number of total FFP transfusions was higher in medical departments (Gastroenterology) than in surgical departments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General surgery). However, the proportion of cases of inappropriate transfusion was higher in surgical departments than in medical departments. Both the total number of FFP transfusion and the proportion of inappropriate transfusion were high in patient with neoplasm, disease of the digestive system, and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Conclusion: Continuous monitoring on appropriateness for FFP transfusion and feedback to the physician are critical in securing the transfusion safety as well as maintaining the quality of FFP transfusion. New-found indication for FFP transfusion should be investigated and applied in timely mann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