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Model for Video Media Music Therapy Program Using Body Expression -Based on Color, Harmony and Dynamics-

신체표현을 활용한 영상미디어 음악치료프로그램모형 개발 -색깔과 화음 및 다이나믹을 중심으로-

  • 신연숙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 조성희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무용학과)
  • Received : 2012.06.28
  • Accepted : 2012.07.23
  • Published : 2012.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changes resulted from the collaboration of colors, harmonies, and dynamics within a music. Through this research model, psychologically change of color and harmony, dynamics have explored to collect the resources for the research of the visual media music therapy program. In video media, music is utilized as non-verbal communication in many areas. The connection between melodies and colors, especially,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to reduce the gap between realities and imagination, thus leading emotional inspiration. Gim's(Guided Imagery and Music) model of musical therapy strives to understand inner-side of human nature, and gives an insight into self-understanding. We would like to promote active, and physical model of musical therapy aside from passive existing mode, and apply it as the base resource for our ever-changing society, and teenage education.

본 연구는 신체표현을 활용한 색깔과 화음, 다이내믹을 연결하여 일어나는 변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상미디어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을 위해 심리적으로 화음과 다이내믹이 색깔에 변화를 준다는 것을 탐색하였다. 영상매체에서 음악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음과 색깔 관계의 심리적 변화를 통하여 가상과 현실의 갭을 줄이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며 사용자는 메시지와 의미에 대해 우리의 감성을 유도한다. GIM (Method of Guided Imagery and Music)은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음악에 유도된 다양한 심상 경험을 통해 상징적 의미와 통찰로 자신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해가도록 하는 음악치료방법으로 인간의 내적세계를 광범위하게 다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상미디어라는 도구를 기존의 음악치료에서 사용되어져 왔던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음악 감상 활용방법에서 탈피하고 직접 몸으로 체험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을 적용시켜 나아가 오늘날 급격히 변화하는 청소년기의 사회적응문제에서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는 음악치료 프로그램개발 모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 A. Smith and L. W. Morris, "Effects of stimulative and sedative music on cognitive and emotional components of anxiety," Psychological Reports, Vol.38, pp.1187-1193, 1976. https://doi.org/10.2466/pr0.1976.38.3c.1187
  2. C. L. Krumhansl, "Memory for musical surface, Memory and Cognition," Vol.19, No.4, pp.401-411, 1991. https://doi.org/10.3758/BF03197145
  3. J. D. Simpkinsa and J. A. Smith, "Effects of music on source evaluations," Journal of Broadcasting, Vol.18, No.3, pp.361-367, 1974. https://doi.org/10.1080/08838157409363749
  4. J. Bharucha and K. Stoeckig, "Reaction time and musical expectancy: Priming ofchord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12, No.4, pp.403-410, 1996.
  5. 최병철, 음악치료학, 서울: 학지사, 2002.
  6. R. H. Mattson, "A graphic definition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model," Kansas State University Press and Department of Horticulture, Forestry and Recreation Resources, pp.43-58, 1982.
  7. 정현주, 음악치료의 이해와 적용,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8. J. B. Tillman, "Constructing Musical Healing: The Wounds that Heal,"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Anderson, J.R, 1985.
  9. B. D. Williams, 음악치료학 개론, 권혜경 외 2인 (역), 서울: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2002.
  10. 나호준, 영상매체를 활용한 실과 가족 단원의 교수-학습이 초등학생의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최병철, 방금주, 음악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2.
  12. 신영희, 신체표현과 연계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방재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시각 메시지 표현 연구, 성균관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김태식, 현해정, "웹 환경에서 감성적 표현요소 를 통한 음악치료 시스템계발", 음악 컨텐츠학회, Vol.7, No.6, 2007.
  15. 김기홍, "영상미디어의 음- 시청각 융합의 이론적/실증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제9권, 제4호, 2011.
  16. H. L. Bonny, Facilitating GIM sessions. Baltimore, MD: ICM Books. 1978a.
  17. 이주현, 곽현주, 음악치료 개론서, 대전: 믿음 디자인.출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