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entration Variation through Sport Talented Children's Training Program

체육영재 프로그램을 통한 주의 집중력 변화

  • Received : 2012.05.07
  • Accepted : 2012.06.01
  • Published : 2012.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 variation between the sport talented children who have been applied with a sport program and the ordinary children who did not. The experiment group was composed of 59(male:32, female:27) sport talented children who were selected from the center of Busan University sport talent in April 2010. The control group was made up of 14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mong these ordinary students 80 participants were finally used, as some of the students were excluded who were playing as athlete or studying in Science gifted program, FAIR concentration test sheet was used for this study, which was reformed for Korean version by Oh(2002). Covariance analysis was applied for using SAS 9.1 packag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both the sport talented group and ordinary group of FAIR concentration's 3 subfactor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8 months. Second, no difference between the sport talent group and ordinary group were found in the variations of post test of concentration's 3 subfactors. Especially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in oneway-ANOVA using data of post test.

본연구의 목적은 체육영재로 선발되어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주의집중력 변화를 일반 어린이들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010년 4월부터 부산대학교 체육영재선터에서 선발되어 훈련중인 59명(남:32, 여;27)이고, 통제군으로는 부산시 해운대구와 금정구, 진구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에서 148명이 참여하였는데, 이들 중 현재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거나 과학 분야에 영재로 선발되어 영재교육원에서 별도로 사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은 제외하고 최종 8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집중력 측정은 H. Moosbrugger & J. Oehlschagel이 제작하고, 오현숙[22]에 의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FAIR 주의집중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SAS 9.1 버전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체육영재집단과 일반학생집단 모두 FAIR 주의집중력 3개 하위요인에서 8개월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간 사후 측정값의 변화에서는 주의집중력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특히 사후 측정값을 활용한 일원변량분석에서도 집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 M. Terman, "The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25.
  2. J. S.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Vol.59, pp.180-184, 1978.
  3. H. Gardner,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Y: Basic Books, 1993.
  4. 윤여홍, 영재성의 정의와 발달, 영재교육학 원론, 서울:교육과학사, 2003.
  5. 장덕선, 김병준, 구해모, 신동성, "단일사례 사격 선수의 집중루틴 훈련의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5, No.1, pp.79-96, 2004.
  6. 정청희, 홍길동, 황진, "뇌파바이오 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집중력 훈련이 양궁경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7-48, 2004.
  7. 심준영, 성인제, "뇌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집중력 및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8권, 제3호, pp.19-36, 2009.
  8. 이명선, 박세윤, "육상 투척선수의 심리기술훈련 적용효과", 제22권, 제2호, pp.77-92, 2011.
  9. 윤영길, 이용수, "축구경기력 결정요인의 구조와 위계적 중요",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7권, 제 4호, pp.87-100, 2006.
  10. 김병헌, 스포츠와 주의집중, 한국스포츠심리학회 편(Ed.), 스포츠심리학 핸드북, p.476, 2006.
  11. D. Kahneman, "Attention and effort,"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NJ, 1973.
  12. S. A. Mednick,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Psychological Review, Vol.69, pp.220-232, 1962. https://doi.org/10.1037/h0048850
  13. C. Martindale and A. Dailey, "Creative, primary process cognition and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0, No.4, pp.409-314, 1996. https://doi.org/10.1016/0191-8869(95)00202-2
  14. J. Kasof, "Creative and breadth of attention," Creative Research Journal, Vol.10, No.4, pp.303-315, 199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004_2
  15. P. I. Ansburg and K. Hill, "Creative and analytic thinkers differ in their use of attentional resour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4, No.7, pp.1141-1152, 2003.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104-6
  16. 이명자, 김현지, "작업기억용량, 주의 집중력 및 창의적 사고력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1권, 제 4호, pp.847-864, 2007.
  17. W. Schneider, S. T. Dumais, and R. M. Shiffrin, "Automatic and control processing and attentionm," In R.Parasuraman&R. Davies(Eds.), Varieties of attention(pp.1-27), Orlando, FL: Academic Press, 1994.
  18. R. Nideffer, "Test of attentional and interpersional sty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4, pp.394-404, 1976b. https://doi.org/10.1037/0022-3514.34.3.394
  19. S. R. VanSchoych and A. F. Grasha, (1981). "Attentional style variations and athletic ability: The advantage of a sport-specefic tes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3, pp.149-165. https://doi.org/10.1123/jsp.3.2.149
  20. D. M. Landers, "Arousal, attention, and skilled performance: Future consideration," Quest, Vol.33, pp.271-283, 1981. https://doi.org/10.1080/00336297.1981.10483758
  21. R. A. Albrecht and D. L. Feltz,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attention related to competitive anxiety and sport performanc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Vol.9, pp.231- 248, 1987.
  22. 오현숙, FAIR 주의 집중력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002.
  23.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4. 조대용, 엄성호. "요트선수들의 정신력 요인 비교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47-160, 2004.
  25. 오연주, 조복희, "유아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 관계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제2권, 제1호, pp.19-3, 2001.
  26. 이준우, "프로골퍼의 성별에 따른 심리상태에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한국체육측정 평가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9-51, 2011.
  27. D. L. Gill and E. H. Strom, "The effect of attentional focus on performance of endurance task,"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16, pp.217-223, 1995.
  28. 김병준, "내.외 주의집중 전략과 운동수행 : 메타 분석을 이용한 연구의 종합", 한국체육학회지, 제 34권, 제2호, pp.208-217, 1995.
  29. 정진원, 이현석, "청소년기 골프선수의 뇌파조절을 통한 집중력 훈련이 골프피칭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10집, 제2호, pp.137-152, 2002.
  30. 최철승, "뇌파 바이오피드백 정신훈련이 최대운동후 정신 집중력과 피로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1호, pp.441-451, 2002.
  31. 장재근, "뇌파 조절을 통한 집중력 훈련이 육상 단거리 스타트에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6권, 제2호, pp.151-158, 2005.
  32. 육영숙, "여대생의 요가 및 호흡명상 참여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17-131, 2009.
  33. 김병헌, "양궁선수들의 시합 전.시합 중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19-143, 2007.
  34. 유경호, 장재근, 이경현. "행동루틴과 인지루틴이 프로골퍼의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2호, pp.139-150, 2011.
  35. 김유지, 이은지, "영재아와 일반아의 뇌 기능비교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111-130, 2011.
  36. D. K. Kinney, R. Richards, P. A. Lowing, D. LeBlanc, M. E. Zimbalist, and P. Harlan, "Crative in offspring schizophrenic and control parents: An adotion study," Creative research Journal, Vol.13, No.1, pp.17-25, 2001.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301_3
  37. E. L. Santanen, Direcied brainstorming and the cognitive network model of creative. Doctor of Philosophy with a major in management in the Graduate College, The University of Arizona, 2002.
  38. S. Abu-Rabia, "The influence of working momory on reading and creative writing processes in a second language," Educational Psychology, Vol.23, No.2, pp.209-222, 2003. https://doi.org/10.1080/01443410303227
  39. L. R. Vandervert, "How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modeling functions of the cerebellum contribute to discoveries in mathematics," New Ideas in Psychology, Vol.21, pp.159-175, 2003. https://doi.org/10.1016/S0732-118X(03)00012-6
  40. L. R. Vandervert, P. H. Schimpf, and H. Liu, "How working memory and the cerebellum collaborate to produce creativity and innov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19, No.1, pp.1-18, 2007. https://doi.org/10.1080/10400410709336873
  41. A. Stavridou and A. Furnham, "The relation between psychoticism, trate crativity and the attentional mechanism of cognitive inhibi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2, No.1, pp.143-153, 1996.
  42. E. Necka, Memory and creative, In M. Runco and SR Pritzker (Ed.). Encyclopeda of creativity, California: Academic press, Vol.2, pp.193-199, 1999.

Cited by

  1. The Effect of Game and Mandala on the Attention of School-aged Children vol.13, pp.8,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8.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