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Model : Focus on Dynamic Range, Noise, Resolution, Color Reproduction, and Preference

객관적인 화질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동적 폭, 노이즈, 해상도, 색재현성, 선호도

  • 박형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Received : 2012.05.29
  • Accepted : 2012.07.31
  • Published : 2012.08.28

Abstract

We propose that a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based on objective image quality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objectively preference of consumers. In other words, we define objective image quality factors which are easy to accept by manufacturers and they are composed of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questionnaires. Also, portrait image is selected by stimulus in order to persue easiness of evaluation for the general subjects. Throughout a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model, we evaluate recognition of image quality by consumer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orrelation in terms of the final image quality preferenc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quality factors, we can figure out the preferable image quality and confirm th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s' recognition of image quality. In the results,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color reproduction, dynamic range, noise, and resolution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 of portrai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color reproduction and preference.

본 연구는 객관적인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여 감상자들의 화질에 대한 선호도를 객관적 요소들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조사들이 이해하기 쉬운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선정하고, 이와 같은 요소들을 질문하는 문항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화질 평가에 사용되는 실제 사진을 일반인들이 주로 촬영하는 장면인 인물사진으로 선택하여 실험결과의 일반화와 타당성을 추구하였다. 본 실험의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통하여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화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가 최종적인 사진의 선호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파악하고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선호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색재현력,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 해상도 순이었으며, 인물 사진 자극의 특성상 색재현력과 선호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 수치화된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언어로 확장시켜, 선호도에 기반을 둔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와 제조사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Clark, D. Hertel, B. Hultgen, and L. Scarff,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CPIQ Working Group Workshop, 2006.
  2. 노연숙, 사진의 감성적 만족도에 근거한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 N. E. Dalal, R. Rasmussen, F. Nakaya, A. P. Crean, and M. Sato, "Evaluat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hardcopy output," IS&T PICS conference, 1998.
  4. ISO 12233,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Resolution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0.
  5. ISO 15739,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imaging-Noise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3.
  6. 김선주, 디지털 카메라의 최적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전자공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6.
  7. CPIQ Initiative Phase 1 White Paper, Fundamentals and review of considered test methods, International Imaging Industry Association, 2007.
  8. ISO 14524,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methods for measuring Opto- Electronic Conversion Fuctions (OECF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5.
  9. ITU-R Rec. BT. 500-11.,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2.
  10. ISO 20462, Photography - Psychophysical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e image qual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4.
  11. 정우현, 한재현, 박수진, 신수진, "사진의 시각적 속성 평가와 감성 반응의 비교를 통한 감성모형 검증", 한국사진학회지, 제15호, pp.52-59, 2006.
  12. J. Radun, T. Leisti, J. Hikkinen, H. Ojanen, Jean-Luc Ilives, T. Vuori, and G.Nyman, Content and Quality: Interpretation - Based Estimation of Image Quality, ACM Transactions on Applied Perception, Vol.4, No.4, p.21, 2008.
  13. 장은혜, 최상섭, 이경화, 손진훈, "TV 화질에 대한 감성평가 척도 개발", 감성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1-12, 2009.
  14. 박형주, 하동환,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화질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8호, pp.68-7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068
  15. 박형주, 하동환, "디지털카메라의 노이즈감소기능이 이미지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5호, pp.91-98,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5.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