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새만금 내부개발이 체류시간 및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n Residence Time and Water Quality of the Saemangeum Reservoir Caused by Inner Development

  • Yoo, Sang-Cheol (Researcher, GeoSystem Research Corp.) ;
  • Suh, Seung-Won (Department of Coastal Construction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Hwa-Young (Department of Coastal Construction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2.22
  • 심사 : 2012.06.08
  • 발행 : 2012.08.25

초록

새만금호 내부개발에 따른 호 내측의 수리특성과 수질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EFDC 모형을 이용한 심층적인 수치모의가 수행되었다. 개발이 진행되면서 방수제 및 준설 영향으로 표 저층간의 흐름특성이 변화된다. 특히 관리수위 적용에 따른 제한적인 배수갑문 운영은 기존과 다르게 표 저층간 성층발달을 심화시켜 새만금호 내측의 수질환경을 악화시키는 주요 인자로 확인되었다. 무작위행보에 의한 입자추적방법을 이용한 내부 체류시간 분석을 통해 확인된 특성은 평수시와 홍수시 그 특성이 크게 다르지만, 만경호 북측구역은 일종의 사대로 변화되어 오염물질이 장기간 체류되면서 침적된 저니층의 용출로 인해 수질환경이 악화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론되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changes on the Saemangeum reservoir in accordance to inner development plan, intensive numerical simulations using EFDC have been done. Due to inner dike construction and proposed dredging plans, stratification might occur and yield flow field change. It should be noticed that very conditional gate operation schedule adjusting target water elevation of -1.5 meter causes severe stratification and h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oor water qualities. By using random walk particle tracking residence simulations, it is found tha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depends greatly on riverine inflow conditions. It is also inferred that the northern part of the Mangyeong reservoir behaves as a dead zone and acts as major reasoning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wing to benthic flux from long-term residing settled sedi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전라북도, 2011,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aster Plan)".
  2. 국토해양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2011, "새만금 해양환경 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최종보고서".
  3. 류청로, 김종규, 설동관, 1998, "조류에 의한 내만의 해수교환율 산정 모델 - 입자추적모델의 응용", 한국해양공학회지, Vol. 12, No. 4, 76-82.
  4. 서승원, 김정훈, 2003, "급격한 저니토 교란이 인공하구호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ol. 15, No. l, 39-50.
  5. 서승원, 이화영, 2008, "새만금호 완공에 따른 수질변화 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8, No. 1B, 79-93.
  6. 서승원, 이화영, 2011, "입자추적방법을 이용한 새만금 해역의 수리특성 변화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 23, No. 6, 442-450.
  7. 서승원, 이화영, 유상철, 2010, "방조제 완공에 따른 호 내부 수질변화 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 22, No. 8, 258-271.
  8. 서승원, 조완희, 2007, "새만금호 완공전후의 수동역학 변화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7, No. 3B, 361-369.
  9. 유정규, 정정호, 남은정, 정경미, 이순우, 명철수, 2006, "새만금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방조제 건설에 따른 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 No. 3, 215-360. https://doi.org/10.4217/OPR.2006.28.3.215
  10. 정연철, 2002, "입자추적법을 이용한 해양방류구 모델링",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 26, No. 5, 563-569.
  11. 정태성, 김태식, 2008, "목포해역의 해수유동 및 담수확산 예측시스템",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11, No. 1, 13-23.
  12. 최병호, 민병일, 김경옥, 육진희, 2010, "유한요소 황동중국 모형과 입자추적모형에 의한 2010년 3월 26일 해난사고의 실시간적 추적", 2010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14-17.
  13. 한국농어촌공사, 2008, "새만금 내부간척지 지형도제작용역 수심측량보고서".
  14.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1, "새만금유역 수질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15. Craig, P.M., 2011, "User's Manual for EFDC_Explorer: A Pre/ Post Processor for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Dynamic Solutions-International, LLC, Knoxville, TN, USA.
  16. Dimou K.N. and Adams E.E., 1993, "A random-walk, particle tracking model for well-mixed estuaries and coastal water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37, 99-110. https://doi.org/10.1006/ecss.1993.1044
  17. DiToro, D.M. and Fizpatrick, J.J., 1993, "Chesapeake bay sediment flux model, contact report", EL-93-2,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18. Dunsbergen, D.W. and Stelling G.S., 1993, "The combination of a random walk method and a hydrodynamic model for the simulation of dispersion of dissolved matter in water", Transactions o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Vol. 2, 235-242.
  19. Hamrick, J.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Special Report 317,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피인용 문헌

  1. Residence Time Variation by Operation of Sihwa Tidal Power Plant in Outer Sea of Sihwa Lake vol.29, pp.5, 2017, https://doi.org/10.9765/KSCOE.2017.29.5.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