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uthoring and Utilization of 3D Content as a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Smart Learning

스마트러닝의 교수 · 학습 도구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

  • Received : 2012.05.29
  • Accepted : 2012.06.28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We explored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3D based software which is useful for 3D content's authoring and utilization as a suitable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Smart Learning' environment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field, we applied this software to 'Smart School' temporally. After that, we conducted a survey of learning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assess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field via one-on-one talk with teachers. As a result, we drew a positive conclusion for the applications, which are instructional medias in various subject areas, presenting materials for motivation, a tool for individual or cooperative presentation, and instructional medias for underachieving students or gifted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 환경에 맞는 교수 학습 도구로써 3D 콘텐츠 제작 및 활용이 가능한 3D 기반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교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스마트스쿨에 시범 적용을 실시하였다. 시범 적용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한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교과에서의 교수 매체, 동기유발 자료 제시, 개인 및 모둠별 발표 도구, 학습 부진아 및 영재 교육을 위한 교수매체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본격 도입을 위한 실행계획 발표' 보도자료, 2011. 10. 12.
  2.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3-45, 2011.
  3.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9권, 제2호, pp.79-88, 2011.
  4. 홍기칠, "교수매체 효과성 연구의 쟁점과 방향", 초등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47-77, 2004.
  5. 이승현, "3D 콘텐츠 제작 및 편집기술", 방송공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8-2009, 2010.
  6. 김정현, "3D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입체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기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112-124, 2012.
  7. 이재인, 최종수,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514-520, 2011.
  8. 안혜리, 천두만, 안성훈,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제19권, 제3호, p.455-474, 2005.
  9. 심규철, 박종석, 김현섭, 김재현, 박영철, 류해일,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725-737, 2001.
  10. 류인영, 안은영, 김재원,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역사학습 콘텐츠의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2-40, 2009.
  11. 김진숙, "교실수업 적용을 통한 증강현실 콘텐츠의 교육 효과 분석",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제2권, pp.808-809, 2009.
  12. 장상현, 계보경, "증강현실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2호, pp.79-84, 2007.
  13. 나재준, 박종범, 국동식,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학습 효과" - 중학교 2학년 지구와 별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지구과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64-171, 2010.
  14. 양기열, 이의진, "수학영재학생들의 유추를 통한 이차곡면의 탐구활동 분석", 영재교육연구, 제21 권, 제2호, pp.269-286, 2011.
  15. 임철일, "제시용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적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의 형성적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제7권, 제1호, pp.29-57, 2001.
  16. 나일주, "교수매체 연구의 현대적 과제: 교수매체의 효과성 논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1권, 제1호, pp.47-71, 1995.
  17. 임정훈, "다시 생각해 본 교수매체의 효과성 논쟁", 한자한문교육, 제20권, pp.7-37, 2008.
  18.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825
  19. http://www.ytn.co.kr/_ln/0115_201203040011016308
  20. 김민환, 실제적 교육방법론, 양서원, 2002.
  21. Dan Gordon, "Wow! 3D Content Awakens the Classroom", THE Journal, Vol.37, No.9, pp.32-37, 2010.
  22. 계보경,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93-224, 2008.
  23. 서희전,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 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137-165, 2008.
  24. Curtis J. Bonk, "YouTube Anchors and Enders: The Use of Shared Online Video Content as a Macrocontext for Learning," Asia-Pacific Collaborative Education Journal, Vol.7, No.1, pp.13-24, 2011.
  25. 이은휘,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수업 방법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4권, 제2호, pp.33-48. 2001.
  26. 권혁진, 김민경, 이은영, "학습 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9권, 제1호, pp.19-38, 2006.
  27. 류성림, "수학 학습 부진아의 개별화 교수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제3권, 제2호, pp.115-131, 1999.
  28. 황동주, 이강섭, "고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영재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847-860, 2011.
  29. 이헌수, 박형빈,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4권, 제1호, pp.101-122, 2011.
  30. 이헌수, 박종률, 이광호, "그래핑 계산기와 CBL을 활용한 1차 함수 탐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pp.347-365, 2009.
  31. 조병철, "아바타 3D영화의 성공요인과 한국형 3D 콘텐츠의 가능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137-14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