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y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focus on the case of Cheonan-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6.11
  • Accepted : 2012.07.05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is to draw community formation strategy for effective resolve the conflicts. Along with thesis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ory, this study sought strategy plan through cheonan regional people investigate. Feeling of satisfaction, sense of common bonds, sense of belonging could showed relation of high existence, and know that duplex sense of belonging acts greatly in desire of social activities in interrelationship study finding, region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 Essential factor of regional community formation is as following. First, it is application to the strategy of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that can correspond to special quality of various area and request of inhabitantses. Second, the regional community's formation needs the local governments' active support, the cooperation, comprehension and voluntary effort of the regional people. Ideal regional community that we think gets joined conclude the relation as well as physical plenty and equality realization of social structure that is matured because awakening of conduced wholesome accident.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갈등해소를 위한 공동체 형성 전략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역공동체 관련 이론의 정립과 더불어 천안지역주민 조사를 통하여 전략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의 상관성에서는 충족감, 연대감, 소속감이 높은 유의관계를 보였으며, 이중 소속감이 사회참여의 욕구에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공동체 형성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형성 전략의 적용이다. 둘째, 지역공동체의 형성을 위하여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지원, 지역공동체의 자체적인 노력과 지역주민들의 협력과 이해가 필요하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지역공동체란 물적 풍요와 사회구조의 평등실현 뿐만 아니라 성숙된 관계를 이끌어가는 건전한 사고의 각성이 어우러져서 성립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상호, 정지웅, 지역사회개발론, 선일 문화사, 1988.
  2. 김남선, 지역리더 육성을 위한 학습체계 모색: 지역사회조직을 중심으로, 농정연구 2004년 겨울호, 2004.
  3. 김필두, 읍․면․동 기능전환에 따른 주민자치센타 도입방안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0.
  4. G. A Hillery,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1995.
  5. R. M. Maclver and C. H. Page, Society, N.Y. : Rinehart & co. 1949.
  6. M. O. Weil, "Community Building: Building Community Practice," Social Work, Vol.41, No.5, 1996.
  7. 심익섭,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4, No.2, pp.33-53, 2002.
  8. Shafritz, Jay M.(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Westveiw Press, 1998.
  9. M. O. Weil, "Community Building: Building Community Practice," Social Work, Vol.41, No.5, 1996.
  10. 강은숙, "주민자치센터 평가와 지역공동체구축에 관한 연구: 군포시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Vol.41, No.2, 2003.
  11. M. S. Haque, "The Diminishing Publicness of Public Service under the Current Mode of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61, No.1, 2001.
  12. J. Nalbandian, "Facilitating Community, Enabling Democracy: New Roles for Local Government Manager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9, No.3, 1999.
  13. 강은숙, 주민자치센터 평가와 지역공동체구축에 관한 연구: 군포시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Vol.41, No.2, 2003.
  14. 이선미,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 시민사회와 이해, Vol.3, No.1, 2005.
  15. 배웅환, 지역공동체의 지방거버넌스 모형, 충남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Vol.12, No.3, 2003.
  16. 서울대 사범대 교육연구소 평생교육연구센터, " 지역공동체 형성을 통한 국민의식 대전환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 사범대 교육연구소 평생교육연구센터, 1994
  17.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99.
  18. 성희자, 전보경, "농촌지역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Vol.27, pp.153-155, 2006.
  19. 유재원, "시민참여의 확대방안: 참여민주주의 시각에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2호, pp.106-116, 2003.
  20. R. D. Putnam, Tuning in, tuning out: The Strange Disappe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n, PS, December, pp.664-665, 1995.
  21. Newton, Kenneth, Social and Political Trust in Established Democracies, in Pippa Noris(ed.), Critical Citizens: Global Support for Democratic Government(Oxford university Press), Vol.4, 1999.
  22. 한상일, "창조와 혁신", 사회적 기업과 지역공동체 발전, 제3권, 제1호, pp.223-246, 2010.
  23. 장수찬, "한국사회에서 시민사회 공동체의 전개 : 전민동 주민의 사회생활 및 정치생활의 구성과 특성을 중심으로", 세계지역논총, 제23집, 제2호, pp.303-333,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