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verting Lands that are damaged by Graveyards into Tree Burial Sites in order to Restore Green Areas

산지묘지의 훼손지 복원을 위한 수목장지로의 전환

  • Woo, Jae-Wook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Byun, Woo-Hyuk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Hak-Beo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ung University) ;
  • Park, Won-Kyoung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Min-Su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Norsyuhada, Norsyuhada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우재욱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변우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김학범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 박원경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김민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노슈하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Received : 2012.05.23
  • Accepted : 2012.06.2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converting the graveyards within forests into spaces intended for tree burials by means of planting, given the situation that the graveyards have encroached on land and damaged the environment. For the reason,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width, length, and distance to the nearest tree of 205 graveyards in the capital area.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domestic lands damaged by graveyards amounted to $862km^2$, including the areas that were deforested to manage the graves. This only confirms that land encroachment by graveyards is a serious issue. The methods for making tree burial sites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meet public demands given the graveyard's spatial distinc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different methods to establish tree burial sit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ransformation and the term of its formation. This study also classified the graveyards into three types, and identified the planting methods that harmonized the safe growth of trees and the scenic beauty of memorial places based on the standard. This is in order to plant trees that are shade-tolerant and suitable to the forest line, along with which other tree line was and also, to plant aesthetic trees around the empty space. Through applying the developed methods, this study established and monitored two exemplary sites in Yongin and Boryeng. Aesthetic trees were planted in Yongin site which was located in an open area, aod the shade-tolerant trees were planted in Boryeong, which was located in a forest area. As a result, the image of a garden appeared at Yongin site and the image of a tree colony harmonized with the near forest emerged at Boryeong sit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plantin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tatus of neighboring trees was effective. As a result of monitoring, mulching wood chips were suitable for sites that were small or easy to approach. This is because the weeds were controlled in Yongin site by mulching. Furthermore, by monitoring the growth of 11 species of veget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low and cover-type vegetations were suitable for tree burial sites. In Boryeong site, the wild cherry trees, which were planted as adult trees, all died, and the tilling of snake's beard, which were planted as cover vegetation, was slow.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seedlings were more suitable to plant in forest graveyards than adult trees, which were large and difficult to approach, and it was effective to use the remaining lawn and form a low vegetation after the crown of trees had expanded to such places.

본 논문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황에서 산지묘지에 수목을 식재하여 수목장지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묘지 훼손지 면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 9개 지역 205기의 묘지를 답사하여 묘지의 평균 가로, 세로 길이와 인접수목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묘지 관리를 위해, 수목을 제거한 면적을 포함한 전국의 묘지 훼손지 면적이 약 $862km^2$에 달해 묘지로 인한 국토 훼손 문제가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수목장지 조성방법은 국민수요 요인을 묘지 공간의 특수성에서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를 관점으로 고찰하여 전환 정도, 조성 기간에 따른 조성기법을 제시하고, 인접수목 분포에 따라 묘지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접 수목이 있는 면은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고, 인접수목이 없는 면은 경관성 위주의 수종을 식재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수목의 안정적 생장과 추모지 경관을 조화하는 식재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조성방법을 적용하여 용인과 보령에 2개소의 시범지를 조성하였다. 개활지에 위치한 용인 수목장지는 경관성 위주로 수종을 식재하였고, 숲 내부에 있는 보령 수목장지는 내음성 산림수종을 식재하여 용인 수목장지는 정원과 같은 이미지를 보이고, 보령 수목장지는 숲과 조화된 수목군의 이미지를 보여 인접수목의 분포에 따른 식재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시범지에 대한 모니터링에서는 용인 수목장지에서 목재칩 멀칭에 의해 잡초류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모습을 보여, 접근이 용이하고 면적이 작은 묘지는 멀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잡초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재된 11개 초종의 생장과정을 통해 키가 낮고 토양피복도가 높은 종이 수목장지의 지표경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령 수목장지에서는 성목 식재한 산벚나무가 모두 고사하고, 지피식생으로 식재한 맥문동의 분얼도 활발하지 못하여 접근이 어렵고, 면적이 넓은 산지묘지는 성목식재보다는 유묘식재를 하고, 잔디를 존치하고 수관이 확장한 후에 내음성 지피식생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75) 조경설계기준. 서울 : 건설교통부. pp. 640-649.
  2. 김갑덕(1982) 묘지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7(2) : 222-223.
  3. 김귀곤(1985) . 도시공원화와 도시조경수목. 도시문제 230 : 41-42.
  4. 김부식(2000) . 도시공원 조경수목의 효율적 관리에 관한 연구 : 서울올림픽공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1-95.
  5. 김용한(2005) 묘지로 인한 산림훼손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 산림 내수목장림 조성에 대한 산림포럼 심포지엄. pp. 3-16.
  6. 김호준(2001) 수목환경관리학. 서울 : 유천. pp. 67-90.
  7. 김홍은(1984) 한국의 묘지 크기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논문집 28 ('84. 2) : 241
  8. 박태호(2006) 장례의 역사. 서울 : 서해문집. pp. 155-156.
  9. 변우혁, 안우환, 이필도, 전진표, 강동구, 김기원, 서정호, 손민호, 천정윤, 우재욱, 신승준, 김지애(2005) 수목장림 조성 연구. 서울 : 산림조합중앙회. pp. 33-102.
  10. 변우혁, 우재욱, 박원경, 김민수, 이민우, 김학범, 박정임, 김순기(2011) 산림 내 묘지구역의 수목장 전환기술 개발. pp. 24-27.
  11. 보건복지부(2011) 2011장사업무. 보건복지부 보고서. pp. 192-193.
  12. 우재욱(2006) 수목장림의 유형구분과 시민의식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71.
  13. 우재욱, 변우혁, 박원경, 김민수, 임민우(2011) 수목장의 동기와 수목장지 선호조건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임학회지 100(4) : 639-649.
  14. 조아영(2008) 조선왕릉의 식생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 동구릉, 광릉, 서오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65,
  15. 이기우(2008) 법주사 사찰림의 경관특성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57.
  16. 차득기, 송원호, 김형무, 김수진(2010) 묘지실태조사 시범사업 및 전국조사를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보고서. pp. 228-229.
  17. 한국방송공사(2006) KBS조사백서. 서울 : 한국방송공사. pp. 48-50.
  18. 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List.do
  19. http://www.foreston.go.kr/contents/view.action?si=40010&mi=10152
  20.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21. http://stat.mw.go.kr/stat/data/cm_data_list.jsp?menu_code= MN010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