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omedical Medicalization of Depression in Korea

우울증의 '생의학적 의료화' 형성 과정

  • 박혜경 (충남대학교 사회학과.KAIST)
  • Received : 2012.11.01
  • Accepted : 2012.12.23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biomedical medicalization of "depression"which is growing fast in Korea in terms of the treatment mechanism. Depression has been regarded as a mental disease that occurs with mixing various causations because what was the cause of this disease was not clarified until a recent date. Thus, as depression treatment, the medicine and the psycho-socio therapy have been used. However, from 1990s, as the brain science was introduced in the western society, and the high-tech diagnostic equipment of the brain disease and new drugs for the mental disease were developed, depression was rapidly redefined as 'the brain nerve system illness'that is easy to be taken and is able to obtain the permanent relief with the regular c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definition of depression and the new treatment of it, recently, 8% of depression patients per year emerge as the aggressive cure subjects in the Korean psychiatric circle. However, according to the Korean psychiatric circle's unofficial calculation, it is estimated that only 10% of depression patients are receiving the accurate treatment but over 80% of the patients are not. If so, what does this estimation mean? Based on this question, this paper critically investigated the biomedical medicalization of depression.

이 글은 최근 국내에 크게 증가하고 있는 우울증(depression)이 생의학적(biomedical) 차원에서 의료화(medicalization)되는 과정을, 질병의 진료 메커니즘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우울증은 근래까지 병원(病原)의 실체가 명확히 규명되지 못함에 따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되어 발병하는 정신질환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우울증에 대한 치료 역시 약물과 심리적 사회적 처치를 병행해왔다. 그러다 1990년대 들어 서구를 중심으로 뇌과학이 출현하고 최첨단 뇌 진단장비 및 정신질환 치료 신약의 개발 등이 급속히 진전되면서, 우울증은 일상적 관리와 완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뇌 신경계 질환'으로 급속히 재정의되었다. 이러한 질병 개념 및 인식과 치료법의 영향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해마다 평균 8% 이상의 우울증 환자가 정신의학계의 적극적인 치료 대상으로 '출현하고(emergent)' 있다. 그러나 정신의학계는 현재의 우울증 치료율은 10%선에 불과하며, 치료 범주에서 벗어나 있는 우울증 환자가 전체의 80% 이상이라고 추산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추정치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 것일까? 이 논문은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우울증의 생의학적 의료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