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And Sensory Simulator

가상 수중 환경과 체감형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윤재홍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 허기택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
  • 강임철 (동신대학교 디지털콘텐츠협동연구센터)
  • Received : 2011.11.30
  • Accepted : 2012.01.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As for the implementation technology of virtual space, the experience method becomes multifunctional and it recognizes movement, sound,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is expanding to the studies on the interaction possible intelligent interaction technology field between contents and users.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being studied to apply the 3D graphic technology and physical phenomena to virtual space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ty and use hardware devices to the virtual environment to increase immersive experience. The production of interactive contents about the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needs bidirectional interface technology to connect hardware devices and ocean cont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e of a user to increase the sense of immersion. In this study, it tried to express the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with the sense of actuality and reality from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changes in depth of water an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normalized underwater physical laws. Also it was to develop sensory contents having to experience the skin scuba without directly entering the water by connecting a sensory simulator about the skin scuba with the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가상공간 구축 기술은 체험 방법이 다기능화 되면서 동작, 소리, 온도, 압력 등을 인식하여 콘텐츠와 사용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상호작용 기술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은 3D그래픽 기술과 물리 현상을 가상공간에 적용시켜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가상환경에 하드웨어 장치들을 사용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 수중 환경에 대한 체감형 콘텐츠의 제작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드웨어 장치들과 해양 콘텐츠를 연계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변화에 따른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정규화된 수중 물리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사실감 있는 가상 수중 환경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킨스쿠버 체감 시뮬레이터를 가상 수중환경과 연동시킴으로써 수중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스킨스쿠버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체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cott Gilbertson, New Google Earth 5.0 Takes You 20,000 Leagues Under the Sea, http://www.wired.com/epicenter/2009/02/google-earth-50/, 2009.
  2. 이진모, "해양레저스포츠산업 환경요인의 국가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4권, 제4호, pp. 317-323, 2008.
  3. 전병화,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 방향,"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Journal, 제133호, pp. 56-62, 2011.
  4. 서강대학교, 지능형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경제부, 2009.
  5. 구본태, 박용재, 허필선, 임명환,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동향 및 사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1호, pp.109-127, 2011.
  6. 김창식, 기재석, 이종찬 외 17인, 체계운영을 위한 가상해양환경 분석 기술, 한국해양연구원, 과학기술부, 2004.
  7. Abram G and Treinish L, "An Extended Dataflow Architecture for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Computer Graphics, Vol.29, No.2, pp.17-21, 1995. https://doi.org/10.1145/204362.204366
  8. http://www.ediving.us, 2008.
  9. http://games.brothersoft.com/diver-deep-water-adventures.html, 2010.
  10. http://www.jp.playstation.com/scej/title/aquanauts/, 2011.
  11. 김철민, 강임철, 김병기, "가상 수중환경에서의 체감 시뮬레이션을 위한 수중 물리현상 모델링," 2009년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2권, 제2호, pp. 158, 2009.
  12. Chong-Han Kim, Im-Chul Kang, Chan-Jong Park, Nak-Keun Joo, and Byung Ki Kim, "A Design of Dynamic Sea Currents Creation for Virtual-Scuba," ICON&APIC-IST 2010, pp. 137-140, 2010.
  13. Sun-Il Kim, Eun-Seok Kim, Gi-Taek Hur, and Im-Chul Kang, "A Design of Sensory Virtual System for Scuba Diving," ICCC 2010, Vol.8, No.2, pp. 361-362, 2010.
  14. 윤남열, 남궁정일, 박현문, 박수현, 김창화, "해양 적응형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수중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 122-132, 2010.

Cited by

  1.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Multi-sensory Effector System to Improve the Realistic of Virtual Underwater Simulation vol.17, pp.1, 2014, https://doi.org/10.9717/kmms.2014.17.1.104
  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typed Bluetooth Device interact with Android Platform-based Contents Character vol.19, pp.11,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11.127
  3. 운동 방정식과 사용자 상호작용을 적용한 반자동 트롤 그물 표면 재구축 시스템 개발 vol.20, pp.8, 2017, https://doi.org/10.9717/kmms.2017.20.8.1447
  4. 실감미디어 기반의 다감각 가상 체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vol.20, pp.9, 2012, https://doi.org/10.9717/kmms.2017.20.9.1574
  5. 가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시뮬레이터 제어 방안 연구 vol.18, pp.3, 2012, https://doi.org/10.7583/jkgs.2018.18.3.61
  6. 폭염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폭염위험도 시각화 플랫폼 vol.23, pp.5, 2012, https://doi.org/10.9717/kmms.2020.23.5.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