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Eco-village Planning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생태마을 계획요소 개발

  • Woo, Hye-Mi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an, Kyung-Min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ek, Jong-In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우혜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한경민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백종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Eco-village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for rural village. This study has intended to develop comprehensive planning indicators to establish an eco-village based on such asp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s economy, environment, and society. To reach this objective, this study has set up six goals as follows: 1) ecological production activities for agriculture, 2) resource circulation and energy independence in the economic domain; 3) building cultural and historical succession and community activation, and 4) living together with surrounding regions in social domain; and 5) maintaining environmental habitat, and 6) restoring natural ecosystem in environmental domain. Based on these goal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planning indicators to build an eco-village through case study, literature review, survey for suit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is study has found 17 strategies and 47 planning indicators in accordance with the six goals.

Keywords

References

  1. Arkin, L., 1996, Sustainability & Sustainable Communities, or Where is an Ecovillage Anyway, Communities, Fellowship for International Community.
  2. President's Council on Sustainable Development, 1997, Sustainable Communities Task Force Report,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 Reid, C., 2000, Eco-Village-Middle Class Fantasies? Diggers & Dreamers, Diggers and Dreamers Pub, 42.
  4. Sima, T., 2000, What is Ecovillage? Communities Directory, Fellowship for International Community.
  5. Svensson, K., 2002, What is an Ecovillage, Ecovillage Living, Green Books.
  6. 강승진, 2007, 제주형 친환경 생태마을 조성에 관한 기초연구, 제주발전연구원.
  7. 권승구, 2005, 생태마을 조성사업의 정책적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 11(2), 153-171.
  8. 김귀순, 2004, 세계의 생태마을을 찾아서, 도서출판 누리에.
  9. 김성균, 2003, 생태마을의 이론과 실천. 지역사회개발연구, 28(1), 107-121.
  10. 김성근, 구본영, 2009, 생태학적 삶을 위한 모둠살이의 도전과 실천, 에코커뮤니티.
  11. 김영민, 2001, 퍼머컬쳐 원리를 적용한 농촌마을의 환경계획: 충남 홍성군 문당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나하영, 천득염, 2007,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적용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안솔기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8(6), 15-23.
  13. 박채운, 2003, 환경친화형 생태마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경기도 하남시 상사창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반영운, 정재호, 백종인, 2008, 생태마을 조성을 통한 농촌 어메니티 향상 방안, 농촌계획, 14(4), 33-45.
  15. 서정호, 2010, 생태마을의 사상적 기초와 실천과제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연구, 17(1), 137-155.
  16. 손성락, 이성용, 도시지역 소비자의 쇼핑장소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마창진 광역도시권을 사례로, 2006.. 50, 59-76.
  17. 양병이, 1998, 생태마을 조성의 원칙, 녹색서울.
  18. 오원진, 2008, 생태마을 조성 방안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상오, 김신원, 허준, 2001, 생태마을건설에 있어 지역자원을 활용한 기본전략구상: 금산군 건천리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14(1), 107-134.
  20. 윤일형, 2008, 우리나라 생태마을의 평가 및 조성기준에 관한 연구 : 대구 경북 지역의 생태마을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광영, 2002,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4(1), 95-112.
  22. 이재준, 2001, 생태마을 사례분석과 전문가 및 거주자 의식조사를 통한 계획방향 설정 연구. 國土計劃, 36(6), 23-39.
  23. 이재준, 2003, 대안주거지로서의 생태마을 현황과 과제. ECO : 환경사회학연구, 5(-), 94-108.
  24. 이필렬, 2003,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태적 전환. 창비, 68-84.
  25. 임경수, 2003,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 농촌관광 현장 전문가교육 자료집, (사)전국농업기술자협회 농림부.
  26. 임은진, 2011, 지속가능한 촌락에 대한 고찰: 충남 홍성 문당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3), 61-72.
  27. 장원, 김경화, 최귀선, 1999, 무주군 진도리의 생태 마을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8(1), 141-147.
  28. 전화영, 2007,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 생태마을 운동, 환경과생명, 178-191.
  29. 정안성, 김세천, 이승형, 2001, 생태마을 조성을 위한 환경농업계획에 관한 연구: 전북 완주군 독촉골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4), 59-74.
  30. 조연희, 안동만, 2005, 생태마을의 현황과 과제. 농촌계획, 11(1), 55-65.
  31. 환경부, 2004, 생태마을 활성화 방안연구.

Cited by

  1. Development of a Scenario-based GIS Tool for Planning and Design of Eco-Village vol.13, pp.3, 2013, https://doi.org/10.12813/kieae.2013.13.3.041
  2. 구례군의 사례를 통하여 본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 vol.19, pp.1,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