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Practice for Urban and Architecture in Modern Times - Focused on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

근대이후 도시건축의 공간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자연과 사회의 공간적 관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2.02
  • Published : 2012.06.25

Abstract

After modern era industrialization and change of time-space concept generate urbanity that is different from pre-modern times and cities have been getting away from nature. These cause a ecological crisis and loss of humanity. Although attempts of Postmodernism accept diversified values to overcome these trends, these aggravate separation between nature and society because creation and destruction are repeated by rapid capital ro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oblems of urban and architecture about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after modern times. Because a crisis of spatiality seems to correlate with the relationship. It is based on Henri Lefebvre and David Harvey's spatial practice theory and interpreted urban and architecture thorough this theory. With this study, we will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et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

References

  1. Henri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translated by Donald Nicholson-Smith , Blackwell, 199
  2. 데이비드 하비, 포스트 모더니티의 조건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구동회.박영민 옮김, 한울, 1994
  3. 데이비드 하비,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임동근, 박훈태, 박준 옮김, 문화과학사, 2010 p.207-208
  4. 에드워드 소자 공간과 비판사회이론(Postmodern Geographies), 이무용 외 옮김, 시각과 언어, 1997
  5. 지그문트 바우만, 지구화, 야누스의 두 얼굴 (Gloobalization: The Human Cosequences), 김동택 역, 한길사, 2003
  6.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7.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논형, 2005
  8. 마이클 헤이스, 1968년 이후의 이론, 봉일범 역, spacetime, 2010
  9. 정기용, City of Bang, 2004
  10. 정인하,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2006
  11. 봉일범, 건축 - 지어지지 않은 20세기, spacetime, 2009
  12. 곽영윤, 대도시 공간과 새로운 미적 체험 :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홍익대 석사학위 논문, 2003
  13. 김숙진, 생태 환경 공간의 생산과 그 혼종성에 대한 분석: 청계천 복원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 9권 2호 2006
  14. 장세룡, 공윤경, 탈근대 도시성탐색: 부산의 도시성 이해를 위하여, 한국민족문화 vol.34, 2009
  15. 정인아, 김흥만, 이인희, 자연개념의 관점에서 본 사회생태학적 건축의 이해, 대한건축학회, Vol.27 No.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