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관관리체계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IFEZ 경관상세계획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and Analysis on Operational Conditions of Cityscape Management - Focused on Detailed Cityscape Plan of IFEZ -

  • 투고 : 2009.12.03
  • 발행 : 2012.03.25

초록

When the central government designated three areas, namely Youngjong, Cheongna and Songdo as Korea's first free economic zones in Incheon 8 years ago, with the purpose of transforming it into the new growth engine of the Korean economy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Incheon City combined with an improved business environment and living conditions for foreign investors. IFEZ(Incheon Free Economic Zone) is aiming to construct the best international city of the 21st century to realize its "plan to build a Northeast Asian Business Hub". The vision of IFEZ is to develop a city with an attractive business environment and modern living conditions where global corporations will be able to invest freely and conduct business comfortably. So Incheon Free Economic Zone was anticipated to be a city with good urban landscapes and they tried to achieve a well-designed guideline through the Urban Landscape Master Plan. But it was not enough to control the urban-scape and the urban-design, furthermore there was no even higher or related plan. Even though "Urban-scape law" was established in 2007, it could not useful, so IFEZ chose "DCP : Detailed Cityscape Plan" as the first urban-design control method in Korea. DCP is a more detailed plan about landscape part of "DUP : District Unit Pla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CP and to propose the application as Urban Design Guideline.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FEZ DCP was a fine example of planning for other local governments to follow in Korea. Sometimes it was difficult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citizens to understand or to use because of its technical language. And frequently changing the part of design in IFEZ. The total design system will be succeeded. If DCP is controled by MA(Master Architect) or MD(Master Designer) over general Depar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장호, 김기환, 지방중소도시의 경관심의 실태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 경상남도 양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권 2호, pp.177-184, 2011.
  2. 국토해양부, 공공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2008.
  3. 국토해양부, 경관사업 모델개발 및 실행방안, 2009.
  4. 김봉경, 오세경, 임재문, 일본의 경관법 시행에 따른 경관 행정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0권 1호, pp.5-20, 2009.
  5. 김세규, 지방분권시대에서의 경관법과 도시경관조례, 공법학 연구, 10권 4호, pp.277-304. 2009.
  6. 문지원, 경관법.제도에 기초한 대구광역시 도시경관계획 보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7권 2호, pp.67-80. 2009.
  7. 서수정, 심경미, 살고 싶은 도시조성을 위한 도시.경관.건축디자인 설정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8. 신예철, 김영걸, 구자훈, 도시디자인으로서 공공디자인 정책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권 4호, 2010.
  9. 이여경, 이정형, 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분석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5호, 2008.
  10. 이인재, 인천경제자유구역의 도시경관계획.관리 개선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009.
  11.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2003.8.
  12. 인천광역시, 2020 인천도시기본계획-경관보고서, 2006.5.
  13.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시가지경관계획, 2006.
  14.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야간경관계획, 2006.
  15.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수변경관관리방안, 2006.
  16. 인천광역시, 인천경제자유구역개발계획, 2003.7.
  17. 인천광역시, 2008인천광역시도시경관가이드라인, 2009.
  18. 전남발전연구원, 경관법 제정 및 시행에 따른 대응 방안, 2008.
  19. 전해림, 허승회, 최형석, 경관법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기초지방자치단체 경관담당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2권 2호, pp.67-85, 2011.
  20. 정수진, 황희정, 정두용, 최강림, 경관심의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경관위원회 상정안건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2권 4호, pp.137-154. 2011
  21. 조유경, 황재훈, 경관계획 수립을 위한 유형별 제어인자 설정 :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권 1호, pp.149-171, 2008.
  22. 최일홍 외 4인, 경관법과 도시공간 관리, 도시정보 통권306호. pp.3-21. 2007
  23. 한상욱 외 3인,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관리 제도 및 운영개선 방안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