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통마을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설정에 따른 순천 낙안읍성 적용실태 분석

Survey on the Application for the Nakan-Eupseong Located at Suncheon b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Factors in Traditional Village

  • 투고 : 2011.09.23
  • 발행 : 2012.02.25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possible to make the guideline or the criteria of modern envimental-friendly design method for housing estate through a survey on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Nakan-eupseong is selected as one of the traditional villages and surveyed b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al-friendly drsign factors in traditional village.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traditional village is composed of 6 large scale, 13 medium scale and 54 small scale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items such as land-use, eco-space, resources and energy conservation, water-u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applicated very well, but the afforest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t applicated well, and the peculiar design factors such as ramparts, waterway and wells are investigated in Nakan-eupseong.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김흥식, 김도형, 방민, 전통마을의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5호, 2008.
  2. 김흥식, 진필화, 김도형, 낙안민속마을의 친환경 계획요소 실태조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3권 2호, 2006.
  3. 김도형, 전통마을의 친환경건축 계획요소 분류체계 설정에 따른 보성 강골마을 적용 실태 분석, 호남대 석사논문, 2009.
  4. 이영미, 낙안읍성 길의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농촌건축학회, 12권 3호, 2010.
  5.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읍치에 구현 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권 1호, 2008.
  6. 신상섭,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외암마을과 낙안읍성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논문집, 22권 1호, 2004.
  7. 임창복, 한경훈, 김경완, 가로조건에 따른 읍성마을의 좌향 및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낙안읍성, 성읍마을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7호, 2004.
  8. 주급원, 최만진, 한국전통민가주택의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낙안읍성 민속마을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논문집, 17권 3호, 2010.
  9. 길종원, 신웅주, 낙안읍성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2권 2호, 2010.
  10. 김인철, 공간열기, 동녘, 2011
  11. 이도원, 전통마을 경관요소들의 생태적 의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