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로경관 평가를 통한 근대 역사.문화거리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학 전공 학부 및 대학원생의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 Historic and Cultural Street through the Evaluation of Streetscape - Focusing on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

  • 문지원 (대구한의대학교 건설시스템연구소) ;
  • 최동식 (대구한의대학교 리조트개발학과) ;
  • 김상희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투고 : 2011.09.28
  • 발행 : 2012.01.25

초록

In this study, we selected Bukseong-ro 1-ga, Daegu Metropolitan City where lots of modern architecture are densely located in order to seek for ways to create modern historic and cultural streets, manufactured streetscape's dynamic image simulation, and conducted an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making most use of this simulation. Streetscape's dynamic image simulation consists of a total of five types including streetscape representing Bukseong-ro 1-ga(#1), streetscape with signboards removed and elevation of architecture reorganized(#2), and streetscape containing dominant factors of the modern Bukseong-ro streetscape by stages(#3~#5).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street landscape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fere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of streetscape containing dominant factors of the modern streetsca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urrent streetscape, and that the average score of preference continued to rise up whenever each dominant factor was add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increasing the preference included signboard and awning.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streetscape (#1 and #5) image, Bukseong-ro 1-ga streetscape(#1) tended to be as disorderly and disharmonious as we can find at a modern commercial street, and streetscape containing all dominant factors(#5) kept its traditional imag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deemed as a unified streetscape.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streetscape(#1 and #5)factor, in Buseong-ro 1-ga streetscape (#1), the level of factor contribution was higher in the descending order: 'continuity', 'diversity', 'stability', and 'traditionality,' whereas in the streetscape where modern streetscape's dominance factors are all contained (#5), the level of factor contribution was higher in the descending order: 'continuity', 'diversity', and 'originalit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treet users'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대구경북연구원

참고문헌

  1. 김홍규, 고원용, 김대희, 강은성, 보행자 전용도로의 형태에 따른 경관 선호도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0-48, 2002
  2. 거리문화시민연대, 대구 新택리지, 북랜드, 2007
  3. 군산시, 군산 근대역사문화 벨트화사업 마스터플랜 수립용역, 2009
  4. 김경인, 김종하, 가로경관정비를 위한 옥외광고물 규제방법에 관한 연구: 송파대로변을 사례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권 11호, pp.221-228, 2000
  5. 김지인, 이진욱, 최판길, 하재명, 장소의 진정성 개념에 기초 한 전통문화거리의 이미지 조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호, pp.195-202, 2008
  6. 김충식,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도시 가로경관의 평가기 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7.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경관계획 역사문화 특정경관계획, 대구광역시, 2010
  8. 문화관광부, 문화예술의 거리: 계획과 실제, 서울: 문화관광부, 1996
  9. 박성남, 도시의 가로전반조명과 간판조명에 따른 경관 선호도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 박현철, 대학진입가로의 경관이미지 및 만족도분석: 동국대학교 가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 배현진, 가로변 건축물과 광고.간판류를 중심으로 한 가로경관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권 7호, pp.85-96, 1999
  12. 서의택, 이해석, 도심부 가로공간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29권 3호, pp.303-316, 1994
  13. 송대호, 박춘근, 가로변 건축물의 시지각적 선호특성에 따른 도시경관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권 9 호, pp.103-114, 1998
  14. 예명해,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대구광역시 중구청, 대구 읍성 이미지 디자인 학술용역 연구 보고서, 대구광역시 중구청, 2009
  15. 오연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유형에 관한 연구, 부경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6. 윤종국, 박춘근, 지방도시 중심가로의 환경인지 특성에 따른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1호, pp.217-228, 2002
  17. 이미하, 역사지구의 가로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2007
  18. 이정호, 한국지역개발학회, 대구광역시 중구청, 도심공간 문화 자료 및 근대역사문화벨트 네트워크 구축사업, 대구광역시 중구청, 2011
  19.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권 1호, pp.47-56, 2004
  20. 전강은, 홍석호, 김세용, 문화재를 활용한 역사문화거리 조성방 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0
  21. 정복임,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대구읍성내 북성로 가로구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조원규, 도시가로 경관의 이미지와 선호도: 건축물 외장색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3. 주신하, 경관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현장음과 동화상 의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4. 김재구, 최경락, 정진현, 이진숙, 도시가로 공간의 심리량 분 석:도시 가로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10권 2호, pp.287-292, 1990
  25. 최경락, 이선영, 이진숙, 도시가로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 구:물리량 추출 및 상관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14권 1호, pp.233-236, 1994
  26. 최임주,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0호, pp.101-110, 2003
  27. 황세현, 보행자 시점에 따른 가로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경희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