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 연령별 인구. 2006-2009. http://www.index.go.kr/
- 통계청. 고령화 속도 국제 비교. 2010. http://www.index.go.kr/
- 류경자, 이태용, 김건엽. 대도시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9;9(4):620-632.
- 신민우, 민세홍, 박영남, 민희홍. 노인의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총의치 만족도.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789-796.
- Slade GD, Hoskin GW, Spencer AJ. Trends and fluctuations in the impact of oral conditions among older adults during a one-year period.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24(5):317-321.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6.tb00869.x
- McGrath C, Bedi R. Can dental attendance improve quality of life?. Br Dent J 2001;190(5):262-265.
-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외 4인. 공중구강보건학. 5판. 서울: 고문사; 2004:6-7.
- 서순규. 성인병.노인의학. 서울: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5:14-17.
- 김광수, 황윤숙. 지역사회 구강보건학. 서울: 김& 정; 2009:192-193.
- Mandinier I, Jehl-Pietri C, Monteil RA. Drug induced xerostomia. Am Med Intern 1997;148(5):398-405.
- 고명연, 권경민, 허준영, 태일호, 안용우. 구강건조증환자의 미각역치에 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지 2008;33(1):67-73.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임상노인의학. 서울: 도서출판 한우리; 2003:687-691.
- Sreebny LM,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2nd edition. Gerodontology 1997;14(1):33-47. https://doi.org/10.1111/j.1741-2358.1997.00033.x
- Cassolato SF, Tumbull RS.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03;20(2):64-77.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3.00064.x
- Field EA, Fear S, Highan SM, et al. Age and medicatio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xerostomia in an English population, attending general dental practice. Gerodontology 2001;18(1):21-24.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1.00021.x
- 박문수. 구강건조증의 진단. 치의신보 제 1871호;2010:18-19.
- 박문수, 이승우, 정성창, 김영구, 염광원.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필로카핀 함유 껌 사용에 따른 전타액내 항균성분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9;24(4):347-359.
- Smith G, Smith A J, Shaw L, Shaw MJ. Artificial saliva substitutes and mineral dissolution. J Oral Rehabil 2001;28(8):728-731. https://doi.org/10.1046/j.1365-2842.2001.00803.x
- Davies AN, Daniels C, Phgh R, Sharma K. A comparison of artificial saliva and pilocarpine in the management of xerostomia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Palliat Med 1998;12(2):105-111. https://doi.org/10.1191/026921698670435903
- 이지혜, 권호근, 이윤희, 이민호, 이희경. 장기요양 노인환자들에 대한 구강체조가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0;34(3):422-429.
- 김희숙. 노인종합복지관의 프로그램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2006.
- 윤영숙. Q방법론을 이용한 노인구강관리의 불편함에 관한 탐색적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9;9(1):91-98.
- 조은별. 구강기능향상운동이 노인의 구강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충남: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2009.
- Fox PC, Busch KA, Baum BJ. Subjective reports of xerostomia and objective measures of salivary gland performance. J Am Dent Assoc 1987;115(4):581-584. https://doi.org/10.1016/S0002-8177(87)54012-0
- Torres SR, Peixoto CB, Caldas DM, et al.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flow rates and Candida counts in subjects with xerostomi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3(2):149-154. https://doi.org/10.1067/moe.2002.119738
- 원영순, 진기남.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전신건강의 상태. 한국치위생학회지 2003;3(2):157-168.
- 박명숙, 류세앙.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건조증 정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10;40(5):747-755.
-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 North Am 1997;41(4):863-875.
- 대한구강내과학회. 치과위생사를 위한 구강내과학 개론. 서울: (주)신흥인터내셔날; 2001:64-67.
- Fox PC, van der Ven PF, Sonies, BC. Xerostomia : Evaluation of a symptom with increasing significance. J Am Dent Assoc 1985;110(4):519-526.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85.0384
- Screenby LM. Xerostomia(Dry mouth). In Tenovuo JO (Ed). The Salivary System. Boca Raton, 1988;CRC Press Inc.:179-202.
- 오정규, 김연중, 고홍섭. 구강건조증환자의 임상적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26(4):331-343.
- 이선경, 현기용, 이승우. 필로카핀 투여방법에 따른 구강건조증 환자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4;19(2):25-44.
- 김지현, 박주현, 권정승, 안형준. 구강건조증에 대한 필로카핀 구강양치액의 효과.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11;36(1):21-24.
- Ikebe K, Mastsuda K. i, Morii K, et al. Impact of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Japane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2):216-222. https://doi.org/10.1016/j.tripleo.2005.12.001
- 노은미, 백종욱.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2010;10(4):233-239.
- Flink H, Bergdahl M, Tegelverg A, Rosenblad Am, Lagerlof F. Prevalence of hyposalivation in relation to general health, body mass index and remaining teeth I different age groups of adults. Commuinty Dent Oral Epidemiol 2008;36(6):523-531.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8.00432.x
- Nederfors T, Isaksson R, Mornstad H, Dahlof C. Prevalenece of percived symptoms of dry mouth in an adult Swedish population-relation to age, sex and pharmacotherap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25(3):211-216.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7.tb00928.x
- 장종화, 백성희, 김애정 외 3인.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4):438-446.
- 장종화, 윤명숙. 노인의치보철사업 수혜자의 구강 건조증과 의치착용 전후 구강기능 만족도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0;34(4):636-643.
Cited by
-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oral health status vol.14, pp.4,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4.555
- Change of salivary flow rate, xerostomia,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oral muscle massage vol.15, pp.4,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79
- The effect of oral exercise on oral health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vol.16, pp.1,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1.103
- Effects of an Oral Self-care Program on the Elderly's Xerostomia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vol.29, pp.3, 2018,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3.382
- 일부 만성 중증 정신질환자의 약물 복용에 따른 구강건조증상과 자극성 타액분비율 vol.14, pp.3,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353
- 강릉시 일부 노인의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 형태별 운영 효과 비교 vol.16, pp.6, 2012, https://doi.org/10.17135/jdhs.2016.16.6.424
- 자당 및 탄산음료 섭취 후 생성되는 구강 내 치아우식 유발성 유기산의 농도 차이 vol.17, pp.3,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3.381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 구강건강수준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vol.19, pp.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61
- The Effects of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on the Changes of Lip and Tongue Strength in Elderly People vol.19, pp.4, 2019, https://doi.org/10.17135/jdhs.2019.19.4.279
- 입마름 증상 완화를 위한 기능성 캔디(lozenge) 개발 요구도 조사 vol.26, pp.1, 2012, https://doi.org/10.14373/jkda.2020.26.1.30
- Improvement in oral function after an oral exercise program including whole-body exercises vol.21, pp.1,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21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