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치위생과 강의식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행동

Efficient teaching behavior in lecture-style instruction of dental hygiene

  • 투고 : 2012.01.19
  • 심사 : 2012.02.20
  • 발행 : 2012.02.28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eaching behavior would have a good effect on learners in lecture-style instruction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0 students who were in the three-year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four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The students put the highest value on knowledge among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irrespective of their academic yea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followed by skills and attitude. Out of every subfactor, they set the highest value on a sense of humor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yea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and put the lowest value on the attitude factor such as enthusiasm.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in evaluation of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according to academic year, and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higher set a higher value on the factors of teaching behavior.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standing and learning style. Conclusions : The dental hygiene students viewed the knowledge factor as the effective factor of teaching behavior, and regarded a sense of humor as the best subfactor. Although the attitude factor like enthusiasm is important, it seemed that the students hoped for the kind of instruction that would be delightful, intriguing and clearly convey what to learn.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우섭. 대학 교수의 핵심 교수역량 모델 연구[박사 학위논문]. 진주:경상대학교 대학원;2007.
  2. 나승일.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2004.
  3.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6.
  4. Borich GD, Stollenwerk DA. Effective teaching methods. New York:Prentice Hall Inc;2003. 박승배 역. 효과적인 교수법. 서울:아카데미프레스;2004.
  5. 전수진. 사려형.사교형 의사소통 교사의 교수행동 비교[석사학위논문]. 청원: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2008.
  6. 이성호. 세계의 대학교수. 서울:문이당;1995.
  7. 김성홍. 수업평가가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부산: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2002.
  8. 류재수.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동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익산:원광대학교 대학원;2007.
  9. 유태문. 중학교와 인문계고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수업행동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춘천: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2008.
  10. 김기용. 전문대학에서의 교수행동과 교수.학습자 특성, 수업상황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박사학 위논문].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2010.
  11. 민용성. 한국 교사의 교수유형 분석[박사학위논문]. 청원: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2004.
  12. 권대봉, 배현경, 이현. 성인교수자의 교수행동특성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008;4(1):247-269.
  13. Saunders p. Teaching behavieors inventory. Kalamazoo, MI:West Michian University Pub.;1999.
  14. 김은정.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교육과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대학원;2000.
  15. Kolb DA. Learning style inventory. LSI-II. Boston:McBer & Company;1993.
  16. 윤은애.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청원: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2007.
  17. 김설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치위생 교육 경험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5):797-805.
  18. 박인숙, 김동기.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 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1):127-140.
  19. 정영란, 황윤숙.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문제중심 학습 패키지 개발. 한국치위생학회지 2004;4(1): 119-132.
  20. 정영란, 이우숙, 조덕주. 치위생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 한국치위생학회지 2010;10(1):33-49.
  21. 권현숙. 치위생사 양성기관의 표준 교육과정 모형 개발연구[박사학위논문]. 창원:경남대학교 대학원;1999.
  22. 김송숙, 고은경. 치위생과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06; 6(2):139-145.
  23. 장의진. 효율적인 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교사.학생의 지각차 연구[석사학위논문]. 춘천: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1999.
  24. 최정희.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참여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4.
  25. Murray HG, Rushton JP, Paunonen SV. Teacher personality traits and student instructional ratings in six types of university cour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91;82:250-261.
  26. Kolb DA. Learning Styles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The modern American College. San Fransisco:Jossey Bass;1981.
  2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박사학위논문]. 청주:충북대학교 대학원;2009.

피인용 문헌

  1. Awareness of class evalua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vol.14, pp.1,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1.59
  2.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learners vol.15, pp.2,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2.303
  3. Recognition towards oral health care and plaque removal in the elderly people vol.15, pp.4,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727
  4. Effect of professor trust and learning flow among allied health students vol.16, pp.4,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4.643
  5. 치위생과학생의 Kolb 학습유형과 자기조절 학습전략 vol.13, pp.2,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2.343
  6. 치위생과 학생의 강의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 vol.14, pp.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450
  7. 치위생과 재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비교과 교육에 대한 수요 비교 vol.19, pp.6,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90
  8. 학습유형별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치위생과 재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과 vol.21, pp.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1.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