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Erdil M, Dickerson OB. Co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New York:Van Nostrand Reinhold;1997.
- NIOS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USA:NIOSH;1997.
- 김정룡.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 공학-유해요인조사방법론 중심으로. 서울:민영사; 2004.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 보건분야-기술자료.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6.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7?2008 산업재해원인조사.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9.
- 정원균, 강현경, 곽정숙 외 21인. 알기 쉬운 고급치주 기구 조작법. 6판. 서울:대한나래출판사; 2006:11-17.
- 박정란, 박재용.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3):416-431.
- 남영신, 장재연.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과 직업병의 연관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2011; 11(4):581-593.
- Anton D, Rosecrance J, Merlino L, Cook T.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dental hygienists. Am J Ind Med 2002;42(3):248-257. https://doi.org/10.1002/ajim.10110
- Macdonald G. Hazards in dental workplace. Dent Hyg 1987;61(5):212-218.
- Kibom A, Person J. Work technique and its consequenc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Ergonomics 1987;30(2):273-279. https://doi.org/10.1080/00140138708969706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지침.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8.
- 김규상. 작업 특성에 따른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방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5.
- 조권환. 병원조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유병률과 위험요인[박사학위논문]. 김해:인제대학교대학원;2002.
- 김민아.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인천: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2009.
- 최미숙, 지동하, 최재호. 치과병.의원 환기방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자각증상 수준 및 근무환경 만족요인. 치위생과학회지 2011;11(4):353-359.
-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외 14인.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2005.
- 김영실, 박재용, 박상연.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근관절건강학회지 2009;16(1):13-25.
- 문정일, 박동현. 전자제품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93-104.
- 한지형, 김진, 남수현, 김창희. C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치위생과학회지 2010;10(4):279-286.
- 최명관. 일부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유해요인[박사학위논문]. 대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6.
- 정유선.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신체통증과 근골격계 질환 지식 및 예방행위. 한국치위생학회지 2009; 9(2):45-56.
Cited by
-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upper extremities among dental hygienists vol.12, pp.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5.897
-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work environment in dental hygienists vol.12, pp.6,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6.1128
- Comparison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scaling training on grip and pinch strength vol.13, pp.1,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114
- The related factors of severity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dental hygienists based on PRECEDE model vol.15, pp.4,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4.649
- 대구지역 치과기공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예방행위 vol.36, pp.4, 2012, https://doi.org/10.14347/kadt.2014.36.4.257
- 대구지역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vol.8, pp.4,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121
-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요인과 스트레스 및 근골격계 장애의 관련성 vol.15, pp.4,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4.472
-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작업자세와 상지의 증상여부 및 기능과의 관련성 vol.44, pp.4, 2019, https://doi.org/10.5393/jamch.2019.44.4.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