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ffects of Travel Speed Using the Safety Facilities in the School Zones

어린이 보호구역내 교통안전시설이 구간통행속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이호원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주두환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현철승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김동효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 박부희 ((주)월드테크코리아) ;
  • 이철기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부)
  • Received : 2012.05.31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06.29

Abstract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s. Because their physical, mental attribute are weak. Major part of the accidents happen during walking. Above all, jaywalking is the biggest traffic accident reason. Many traffic accidents take place on the road to school or near the home area. So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legislated children safeguard zone since 1995. But a study are inadequate the safety facilities on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in the school zon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facilities. The vehicle speed is a direct correlation traffic accident. So in this study, the MOE(Measure of Effectiveness) is average travel speed in the school zone. The results shows that hump, rised pedestrian crossing has an effect.

어린이의 경우 신체적, 정신적 능력이 떨어지거나 완성되지 못한 이유 등으로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고, 특히 피해자로서 차대사람 사고(보행 중 사고)의 비중이 다른 연령층이나 비장애인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1995년부터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보행안전을 확보하고자 일련의 정책들을 시행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의 보호구역에 대한 효과검증 작업에 대한 기초 연구가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해 이러한 시설들의 설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평가지표(MOE)로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구간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하였다. 차량의 속도와 교통사고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과속방지턱, 고원식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은 차량속도를 감속시키는데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동철, 김화무, 최동호, "어린이 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제34회 학술발표회논집, pp.312-322, 1998. 10.
  2. 금기정, "계층분석법(APH)을 이용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안전 특성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19권 제3-1호, 대한토목학회, pp.27-35, 1999.
  3. 김채만, 김정은, "경기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 업 효율화 방안", 대한교통학회, 교통 기술과 정책, 제3권 제1호, pp.144-156, 2006. 03.
  4. 김요셉, 윤판, 하태준,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기준의 방법론 제시에 관한 연구", 제57회 학술발표회논집, pp.823-832, 2007. 11.
  5. 김요셉, 박제진, 박광원, 박성용, 김정현,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지준의 방법론 제시에 관한 연구", 대학교통학회지 제26권 제5호, pp.29-40, 2008. 10.
  6. 이수범, 정도영, 김도경, "토지이용 특성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압의 교통사고 감소효과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3호, pp.109-117, 2008. 6.
  7. 장명순, 박준영, 김명주, 정다정, "어린이 보호구역 현황, 교통사고 특성, 문제점 및 개선제안", 대한교통학회, 기술과 정책, 제7권 제5호, pp.91-98, 2010. 12.
  8. NHTSA, :Demonstration of Automated Speed Enforcement in School Zones in Portland, Oregon, 2006.
  9. Gates, T. J., H. G. Hawins, and R. T. Ewart, "Effectiveness of a Rear-Facing Flashing beacon in School Speed Limit Sign Assemblies", Presented at the TRB 83rd Annual Meeting, 2004.
  10. L. Aarts, and I. V. Schagen, "Driving Speed and The Risk of Road Crashes: A Review",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8, no. 2, pp.215-224, Dec. 2006. https://doi.org/10.1016/j.aap.2005.07.004
  11. R. Macock, P. J. Brocklebank and R. D. Hall, "Road Layout Design Standards and Driver Behavior",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Report no. 332, Crowthorne, Berkshire, Dec. 1998.
  12. A. Quimby, G. Maycock, C. Palmer, and S. Buttress, "The Factors that influence a drivers's Choice of Speed",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Report no. 325, Crowthorne, Berkshire, Dec. 1999.
  13. M. Durkin, and T. Pheby, "Aiming to Be the UK's First Traffic Calmed City in Traffic Management and Road Safety", PTRC Education and Research Services LTD., London, England, 1992

Cited by

  1. Searching a Navigation Path to Avoid Danger Area for Safe Driving vol.50, pp.8, 2013, https://doi.org/10.5573/ieek.2013.50.8.171
  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Safety Accidents to Safe Housing Environments vol.18, pp.7,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7.9
  3.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초등학교 통학로 실태 및 안전도 영향규명 연구 vol.28, pp.5, 2013, https://doi.org/10.14346/jkosos.2013.28.5.71
  4.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어린이 교통사고 모형 개발 vol.34, pp.6, 2016, https://doi.org/10.7470/jkst.2016.34.6.489
  5. 생존분석을 활용한 과속방지턱 영향구간 분석 vol.35, pp.4, 2017, https://doi.org/10.7470/jkst.2017.35.4.261
  6. Analysis of Child Traffic Accidents According to Location of Main Entrance in Child Protection Facilities vol.21, pp.5, 2012, https://doi.org/10.7855/ijhe.2019.21.5.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