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ke-up Design with Application of Genre Deconstruction in Hybrid(Ver. 2)

하이브리드의 탈 장르화를 응용한 메이크업 디자인에 관한 연구(제 2보)

  • 방기정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
  • 김경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2.02.23
  • Accepted : 2012.03.22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Hybrid implies that elements in more than two are combined, and is what is merged and used complexly the technologies and materials in several fiel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progress in technology. In the formative and artistic aspect, the hybrid can be said to be phenomenon that two of mutually different genres are combined. The function and form in each genre, which were combined at this time, are remained wholly or partially, thereby revealing as well without hiding a fact of having been combined.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era, the same time level was integrated into one culture, with destroying the temporal·spatial boundary. As fo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is to suggest a model for researching into make-up by grasp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 art through considering an art theory of hybrid, which was shown in make-up. Second, the aim is to design make-up by analyzing trend by make-up style after applying the genre deconstruction in hybrid. The modern make-up design through genre-deconstruction characteristics beyond diverse plurality and genre could be known to be highlighted as aesthetic characteristic by a slight attempt as communication of open space, which connects culture and genre, which had failed to be recognized and was neglec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known that there is infinite possibility in developing make-up design in line with modern sensation through aesthetic element and symbolic significance through genre deco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s significance can be said to be in substantially contributing to offering new sight to the design &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the expression mode in future make-up, to providing basic data, and to strengthening competitive edge of culture and art.

Keywords

References

  1. Daniel H. Pink(2005), A Whole New Mind:Why Right-Brainers Will Rule the Future, New York: Riverhead Books, p.75.
  2. 김연순 外(2008), 하이브리드 컬쳐,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p.11.
  3. 허정선(2010), "현대 패션에 표현된 신체의 혼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1), pp.108-109.
  4. Edward Burnett, Tyler (1958), Primitive Culture, New York: Harper, p.1. (2010),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y, Religion, Art, and Custom, London: Cambridge Press, p.1.
  5. Tsuneo Avabe 편저, 김인호 역 (1999), 문화인류학의 명저, 서울: 자작나무, p.4.
  6. Raymond Williams., op.cit., p.13.
  7. lbid., pp. 67-68.
  8. 서자연(2009), "현대 미술의 다층적 평면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 사진, 회화, 섬유예술의 매체적 혼용",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6.
  9. 이일형(1995), "현대 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 pp.35-36.
  10. Richter, Gerhard.(2006), Gerhard Richer:Portaits, Distrbuted Art Pub Inc, p.109.
  11. 박성봉(2006), 대중예술과 미학, 서울: 도서출판일빛, p.9.
  12. John Storey(2006),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 Reader, Univ of Georgia Press, pp.208-211.
  13. 이봉덕, op.cit., p.26.
  14. Daniel H. Pink(2005), A Whole New Mind:Why Right-Brainers Will Rule the Future, Riverhead Books , p.75.
  15. Daniel H. Pink(2005), A Whole New Mind:Why Right-Brainers Will Rule the Future, Riverhead Books , p.147.
  16.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in 1989, Oxford University Press. p.258.
  17. 최정호(2001), 새로운 예술론 편: 21세기 한국문화의 전망, 서울: 나남출판, p.155.
  18. 백정현, op.cit., p.46.
  19. John Storey(2006),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 Reader, Univ of Georgia Press, p.102.
  20. 권택영, 윤도근(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pp.397-398.
  21. 고윤정, 김민자(201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권력과 패션에 대한 연구", 복식학회지, 60(2), pp.81-85.
  22. 오창섭(2002), 디자인과 키치, 서울: 시지락, p.194.
  23. 이윤진, 박명희(2003), "현대 의상에 나타난 유머성", 복식학회지, 53(5), p.34.
  24. 채금석(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된 꾸밈미학", 복식학회지, 54(3), p.114.
  25. 양희석(1988), 예술철학(上), 서울: 자유문고, p.40.
  26. Renato Poggiolli(1962), Teoria dell'ate d'avanguardia, Bologna: II Mulino, pp.68-69. 박상진 역(1996), 아방가르드 예술론, 서울: 문예출판사, pp.12-25.
  27. 하지수(1994), "현대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복식학회지, 22, p.75.
  28. 한명숙(1999), 마뀌아쥬 예술, 서울: 청구문화사, p.11.
  29. Dominique Paquet, 지현 역(1998), 화장술의 역사, 서울: 시공사, pp.49-73.
  30.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7.
  31. Victoria Jackson(2000), Make up Your Life, New York: QVC Publishing, Inc. p.17.
  32. 조규화(1992),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1982), p.257.
  33. 김인혜(2004), 기초디자인: 점 / 선 / 면, 서울:미진사, pp.144-146.
  34. W. Kandinsky, 차봉희 역 (2004), 점․선․면,서울: 열화당, p.47.
  35. 박정신(2008), "뵐플린의 양식 개념에 의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
  36. 김인혜(2004), 기초디자인: 점 / 선 / 면, 서울:미진사, p.105.
  37. 박정신(2008), "뵐플린의 양식 개념에 의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
  38. 김인혜(2004), 기초디자인: 점 / 선 / 면, 서울:미진사, pp.265-267.
  39. 김인혜(2004), 기초디자인: 점 / 선 / 면, 서울:미진사, p.40.
  40. 이수인(2005),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양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6.
  41. 강경화(2000), 메이크업 총론, 서울: APC. p.172.
  42. Joanne Richmond(2008), op.cit., pp.29-30.
  43. 박정신(2008), "뵐플린의 양식 개념에 의한 메이크업의 시각적 표현형식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7-18.
  44. Scott Barnes, op.cit., pp.10-20.
  45. Scott Barnes, op.cit., pp.24-25.
  46. 이화순 外(2003), The Art of make-up, 서울:형설출판사, pp.32-33.
  47. 양덕제(1998), 최신 화장품학, 서울: 장업신보, p.62.
  48. 김귀정 外(2007), 실전 메이크업, 서울: 청구문화사, p.153.
  49. 김춘득(2002), 동서양 미용문화사, 서울: 현문사, p.239.
  50. 김귀정 外(2007), 실전 메이크업, 서울: 청구문화사, p.155.
  51. 정현진(2004), 미용문화사, 서울: 광문각, pp.182-185.
  52. 김선희, 차귀옥(2006), 실용메이크업, 서울: 훈민사, p.115.
  53. 하루야마 유키오, 임희선 역(2004), 화장의 역사, 서울: 사람과 책, pp.66-69.
  54. 김귀정 外(2007), 실전 메이크업, 서울: 청구문화사, p.160.
  55. 장미숙, op.cit., pp.412-418.
  56.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86.
  57. 이수인(2005),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양상",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5-58.
  58.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87.
  59. 김동호(2006), "현대미술에 있어서 혼용된 오브제와 하이브리드 오브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7.
  60. 이일형(1995), "현대 건축의 혼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1(1), p.37.
  61. 하미희(2009),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디자인 트렌드 연구: 세계 4대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4.
  62. Lee, C. Susan, op.cit., pp.5-10.
  63. 김욱동(2004),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머리말.
  64. John Storey(2006),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 Reader, Univ of Georgia Press, pp.242-244.
  65. Amy de la Haye(1996), The Cutting Edge:50 Years of British Fashion, 1947-1997 (Hardcover), USA: Penguin. p.11, 재인용.
  66. 이윤정, op.cit., pp.91-100.
  67. 이경아, 전혜정(2004), "로맨티시즘 복식의 양식(1)", 한국복식학회지, 54(1), p.143.
  68. 장민한, 미학대계간행회 편자(2009), 현대의 예술과 미학: 제 3권,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267.
  69. 김선영, 임영자, op.cit., p.158.
  70.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in 1989, Oxford University Press. p.410.
  71. 김지연, 이경희(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다원주의적 표현성", 한국의류학회지, 6(1), pp.9-16.
  72. 하미희(2009),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디자인 트렌드 연구: 세계 4대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5.
  73. Quant Mary, op.cit., p.16.
  74. 이봉덕, op.cit., p.69.
  75.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0.
  76. 이재성(1997), 실크로드 역사와 문화, 서울: 민족사, p.15.
  77. 하미희, op.cit., pp.48-49.
  78. 하미희, op.cit., pp.49-50.
  79. Joanne Richmond, op.cit., p.29.
  80. 서명희(2003), "1990년대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에스닉룩 메이크업 영향", 인체예술학회지, 4(2), p.293.
  81. 이승민(2003),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메이크업 연구", 인체예술학회지,4(1), p.283.
  82. 주명희(1992), "크리스티앙 라크르와의 의상에 나타난 원시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p. 124.
  83. 박 진, op.cit., p.5.
  84. Edward O. Wilson(1999),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 Alfred A. Knopf, p.46.
  85. Peter Weingart & P. Pansegrau(1999), "Reputation in Science and Prominence in the Media: The Goldhagen Debat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8, pp.8-10.
  86. 박 진, op.cit., pp.4-5.
  87. 박성봉(2006), 대중예술과 미학, 서울: 도서출판일빛, p.65.
  88. Dorothy Michelson Livingston(1978), Michelson, Artist in physics, Science Technology & Humanities, 1, pp.187-192. 홍성욱(2008), 융합시대의 과학문화: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13. 재인용.
  89. Dorothy Michelson Livingston(1978), Michelson, Artist in physics, Science Technology & Humanities, 1, p.125.
  90. Bazaar, October, 2005, p.344.
  91. Rutsky(1999), High Techne, Minnesota press, p.158.
  92. 한명숙(1999), 마뀌아쥬 예술, 서울: 청구문화사, pp.21-22.
  93. 이민정, op.cit., pp.46-59.
  94. Ibid., pp.22.
  95.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31.
  96. 향장(2002), 서울: 아모레, 2002. 2.
  97. 이경은(2007),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9.
  98. 퍼놀로지(fun+technology), 재미와 기술의 결합, 위키 백과사전, (검색일. 2010. 10. 25),http://ko.wikipedia.org/wiki
  99. 김지희, 유태순(2007),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문화 감성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8), p.7.
  100. 방기정, 김경희, op.cit., p.74.

Cited by

  1. A Study on Body Painting according to Nature Art Types vol.18, pp.4,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4.18.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