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영섭 외, 2010,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분석을 통한 한국 내 삵의 유전적 다양성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3(4): 353-354.
- 김원주, 1998, 멧돼지 서식지 분표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점봉상, 설악산 지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박사과정 세미나 발표자료.
- 김희수, 2010, 분변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석에 의한 삵의 생식주기 관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산청군청 홈페이지, 2011, www.sancheong.ne.kr
- 원병휘, 1967, 한국동식물도감 제 7권 동물편(포유류), 문교부.
- 윤명희 외, 2004, 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 156-157.
- 이동근, 송원경, 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 64-72.
- 이오선, 2008, 한국산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식이습성 및 서식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3.
- 정지향, 2007, GIS를 이용한 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의 서식적합성모형에 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태영, 박종화, 2009, 농촌지역의 삵(Prionailurus bengalensis)행동권,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년 학술대회 논문집, 56-58.
-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2010, www.eiass.co.kr.
- 환경부, 2007, 사업유형별 환경영향평가서작성 가이드라인, 127-128.
- Corsi, F., Dupre, E. and Boitani, L., 1999, A large-scale model of wolf distribution in Italy Conservation Biology, 13: 1-11. https://doi.org/10.1046/j.1523-1739.1999.013001001.x
- Forman, R.T.T., 1995, Land Mosaic: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 Grzimek B, 1989, Grzimek's Encyclopedia of Mammals, vol 3.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590-595.
- Haworth, P. E. and Thompson, D. B. A., 199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reeding distribution of upland birds in the South Pennines, England, Journal of Applied Ecology, 20: 562-577.
- Nowak R.M, 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II. 6th ed, Johns Hopkins Univ Press, 812-813.
- Schadt, S., Revilla, E., Wiegand., T., Knauer, F., Kaczensky, P., Breitenmoser, U., Bufka, L., Huber, T., Stanisa, C. and Trepl, L., 2002,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central European landscapes for the reintrodution of eurasian lynx, Journal of Applied Ecology, 39:189-203. https://doi.org/10.1046/j.1365-2664.2002.00700.x
- Sunquist M.E, Sunquist F., 2002, Wild cats of the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6-232.
- Wilson D. E., Reeder D. M.,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Vols. 1.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USA, 542-543.
Cited by
- 전문조사원 경험에 의한 야생동물 서식지 예측모형 - 대천천.청라댐 유역을 대상으로 - vol.28, pp.4, 2014, https://doi.org/10.13047/kjee.2014.28.4.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