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Organic Matter Ratios in Substrate and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Liatris spicata under Non-irrigated Green Roofs

무관수 옥상녹화에서 유기질 비료와 멀칭재에 따른 리아트리스(Liatris spicata) 생육 반응

  • Received : 2012.02.22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research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organic matter ratios in substrate and mulching materials under mn-irrigated condition green roofs by measuring the effects on growth of Liatris spicata. Four mulching materials were installed, i. e. nun-mulched control(CON), volcanic ash soils(VAS), non-woven black fabric mat(NBM) and pine bark(PAK). Three levels of organic maller volume percentage in an amended soil were evaluated, amended soil: organic matter=100:0($A_1O_0$), amended soil: organic matter=80:20($A_4O_1$) and amended soil: organic matter=50:50($A_1O_1$).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diameter of flower stalk, number of florets, chlorophyll contents, shoot fresh and dry weight were recorded from April to September, 2010, and survival rate was examined on May 2011 of the following year. In the $A_1O_0$, the number of leaves, number of florets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higher in Liatris spicata grown on NBM than other mulching treatments. Especially, plant height, shoot fresh and dry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However, it resulted the lowest survival rate than other mulching treatments. 2. In the $A_4O_1$, the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number of florets, shoot fresh and dry weight were higher than other mulching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the plant height of Liatris spicata grown on NBM. The survival rate was decreased by 40~60%, compared with $A_1O_0$, after overwintering. 3. In the $A_1O_1$, the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diameter of flower stalk, number of florets, chlorophyll contents, shoot fresh and dry weight were slightly higher than other mulching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Liatris spicata grown on NBM and VAS. The survival rate was observed by 0% over all mulching treatments after overwintering. Therefore, the non-woven black fabric mat(NBM) promoted the Liatris spicata's growth and flowering compared with other mulching treatments. However, the survival rat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organic matter ratios were increased after overwintering under non-irrigated green roofs.

본 연구는 유기질 비료와 멀칭재에 따른 리아트리스(Liatrisspicata)의 생육을 조사하여 무관수 옥상녹화에서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4가지의 멀칭처리(무처리, 난석 멀칭, 바크 멀칭, 검은색 부직포 멀칭)와 3가지의 유기질 비료처리($A_1O_0$, $A_4O_1$, $A_1O_1$)로 총 12가지의 처리구를 옥상에 배치하였다. 생육측정은 201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초장, 엽수, 꽃대직경, 소화수, 엽록소 함량, 지상부 생체중 및 건조중 등을, 생존율은 이듬해인 2011년 5월에 조사하였다. 1. 인공배합토 100%($A_1O_0$)처리구의 경우, 검은색 부직포 멀칭에서 리아트리스의 엽수, 소화수, 엽록소 함량 등이 높았고, 특히, 초장,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조중 등은 다른 멀칭처리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동면 후 생존율은 무처리와 난석 멀칭이 100%, 바크 멀칭에서는 20%,검은색 부직포 멀칭에서는 0%의 생존율을 보였다. 2.인공배합토 80%, 유기질 비료 20%($A_4O_1$)의 경우, 검은색 부직포 멀칭에서 리아트리스의 초장, 엽수, 소화수,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조중 등이 다른 멀칭처리에 비해 높았으나, 초장을 제외하고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면 후 생존율은 $A_1O_0$와 비교해볼 때 약 40~60% 정도 감소하였다. 3. 인공배합토 50%, 유기질 비료 50%($A_1O_1$)의 경우, 검은색 부직포 멀칭이나 바크 멀칭에서 리아트리스의 초장, 꽃대직경, 소화수, 엽수, 엽록소 함량,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조중 등이 다른 멀칭처리에 비해 좀 더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동면 후 생존율은 모든 멀칭처리에서 0%를 나타냈다. 따라서, 무관수 옥상녹화에서 리아트리스의 생육과 개화는 검은색 부직포 멀칭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반면, 동면 후 생존율은 유기질 비료의 비율이 높을수록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만, 정동춘, 정종성(1998a) 리아트리스의 파종시기가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기술학회지 16(3): 450.
  2. 김정만, 정동춘, 정성수(1998b) 절화 리아트리스의 실생재배 밀도. 한국원예기술학회지 16(3): 451.
  3. 농촌진흥청(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업과학기술원.
  4. 박인환, 김재기, 최상태(1989) Liatris구경의 휴면과 내생생장 조절물질과의 관계. 한국원예학회지 30(2): 163-168.
  5. 박인환, 최상태(1989) 노지절화재배에 있어서 정식시기가 Liatris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0(4): 331-335.
  6. 박인환(1990) Liatris절화재배에 있어서 적심시기 및 일장처리가 측지발생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1(2): 169-175.
  7. 박정민, 강진호, 정은호, 송근우(2004) 멀칭방법이 삽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2(3): 226-230.
  8. 변종영, 신향일, 권기원(2006) 산림에서 예취, 멀칭 및 제초제 국부처리에 의한 칡덩굴 방제. 한국잡초학회지 26(4): 346-352.
  9. 이정일, 조문수(1997) 고온기 차광재배시 멀칭 및 GA3처리가 절화백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3): 288-291.
  10. 이병태, 박종민(2006) 종자피복, 경사조절 및 토양멀칭처리가 녹화식물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38-51.
  11. 유용권, 김병운(2006) 멀칭재료와 식재방법에 따른 유색칼라 소괴경의구근 생육. 한국원예기술학회지 24(3): 382-387.
  12. 최동근, 서병선, 강인규(2009) 초생재배 과수원에서의 수관하부 토양표면관리방법에 따른 토양과 사과나무 생육 및 과실특성의 변화. 원예과학기술지. 27(2): 174-180.
  13. 최상태, 장영득, 안형근, 정우윤, 박인환, 정경순(1999) Liatris주아를 이용한 구근생산 및 절화재배. 한국원예학회지 40(1): 117-121.
  14. 한국조경학회(2007) 한국조경설계기준. 서울: 기문당. pp. 348.
  15. 한국환경과학회(2009) 그린조경학. 서울: 문운당. pp. 78.
  16. 황인택, 조경철, 김선국, 정순주, 김광수, 최경주(2003) 부직포멀칭과 왕겨와 Peatmoss층적위치 변경이 배지의 물리성 변화와 국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21(3): 216-220.
  17. 홍세진, 김학기, 박세원(2001) 피복재료가 고랭지 재배 Oriental백합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원예기술과학지 19(4): 585-590.
  18. Amoroso, G. A. , P. A. Frangi, R. A. Piatti, A. B. Finin and F. B. Ferrini(2010) Effect of mulching on plant and weed growth, substrate water content, and temperature in container-grown giant arborvitae. HortTechnology. 20: 957-962.
  19. Chalker, S. L. (2007) Impact of mulches on landsca peplants and the environment. J. Environ. Hort. 25: 239-249.
  20. Ghawi, I. andA. Battikhi(1986) Water melon production under mulch and trickle irrigation in the Jordan valley. J. Agron. Crop. Sci. 157: 145-155. https://doi.org/10.1111/j.1439-037X.1986.tb00062.x
  21. George, H. L. , F. S. Davies, J. H. Craneand B. Schaffer(2002) Root temperature effects on 'Arkin' carambola (Averrhoa carambola L. ) treesII. Growth and mineral nutrition. Scientia Horticultureae 90: 67-79.
  22. Inamoto, K. A. , K. B. Matsubara, M. C. Doiand H. Imanishi(2011) Evaluation of freezing hardiness of ornamental geophytes. Acta Horticulturae. 886(31): 105-112.
  23. Kwon, Y. S. , Y. B. Lee, S. K. Park and K. D. Ko(1988) Effects of different mulch materials on the soil environment, growth and yield of redpepper(Capsicumannuum L.). Res. Rept. RDA(Hort.). 30(1): 9-17.
  24. Lohr, V. L. and C. H. Pearson-Mims(2001) Mulching reduces water use of containerized plants. HortTechnology. 11(2): 277-278.
  25. Shengzuo, F., H. Liand B. Xie(2008) Decomposition and nutrient release of four potential mulching materials for poplar plantations on uplandsites. Agroforest Syst. 74: 27-35. https://doi.org/10.1007/s10457-008-9155-0
  26. Shi, L. , G. Han, Z. Zhang, D. Liuand Q. Wang(2010) Effect of mulching with straw composts on soil properties of landscape. Chinese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ing 26(1): 113-117.
  27. Solberg, S. O. andS. Dragl and(2006) The effectsofdark-coloredplastic, fiber, and paper mulches on yield and over-wintering of perennial herbs. Journal of Herbs, Spices and Medicinal Plants 12: 13-23. https://doi.org/10.1300/J044v12n01_02
  28. Sun, L. T. , Y. Wangand Z. T. Ding(2011) Effects of ground surface mulching in tea garden on soil water and nutrient dynamics and tea plant growth. Chinese Jounal of Applied Ecology 22(9): 2291-2296.
  29. Yi, L. , S. Yufang, Y. Shenjiao, L. Shiqing, and C. Fang(2011) Effect of mulch and irrigation practices on soilwater, soil temperature and the grain yield of maize(Zea maysL. ) in Loess Plateau, China. Af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6(10): 2175-2182.

Cited by

  1.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depends on Soil Depths on the Growth of Spiraea bumalda 'Gold Mound' in a Extensive Green Roof System vol.23, pp.2,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2.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