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in Microteaching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 Shim, Sang-Kil (School of Liberal Arts, Dankook University) ;
  • Yun, Hye-Soo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12.04.19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in microteaching. This study is organized along the following lines: 1)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duct twice microteachings, 2) the microteaching recordings an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are analyzed. Through reviewing the first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 have reviewed and found out improvements of their teaching. In the second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rs have been positively and effectively changed with respect to teaching methods, proposal of learning objectives, prior knowledge usage, presenting lesson's content, concise descriptions, brief language usages, multimedia, and appropriate questions. However, they frequently used inappropriate expressions from their unconscious habits. Therefor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involved in well-structured microteaching training program with pre-service teachers, which in turn, help pre-service teachers to have more positive teaching competence.

Keywords

References

  1. 김신자․이인숙․양영선 (1999).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2. 단국대학교 교육개발인증원 (2007). 내강의 되돌아 보기: 강의 중간 점검, Teaching Tips 8, 단국대학교 교육개발인증원.
  3. 박만구․김진호 (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
  4. 박만구․안희진․남미선 (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8(2), 291-314.
  5. 박정준․최의창 (2010). 반성적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예비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수준 분석, 체육과학연구 21(4), 1595-1614
  6. 손연아․신종란․민병미 (2007). 생물 예비 교사의 수업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 적용 과정 분석;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7. 숭실대학교 교수학습센터 (2006).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 숭실대학교 교수학습센터.
  8.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5). 교수법가이드,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9. 심상길․윤혜순 (2012).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 예비교사들의 반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25(1), 89-105.
  10. 우정호 외 9인 (2009). 중학교 수학 1, 서울: (주)두산
  11. 이광호 (2009). 중등 수학 예비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성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1-25.
  12. 이윤미․강완 (2008). 초등수학수업의 과제제시 및 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1(2), 121-139.
  13. 정태희 (2004).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활용한 발표수업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정연구 22(4), 189-208
  14. 조영남 (2011). 마이크로티칭과 초등 예비교사교육;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65-84.
  15. 한국교육개발원 (2009).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편람, 연구자료 RRM 2009-33.
  16. 황혜정 외 5인 (2012). 2012 개정증보판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17.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ited by

  1.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vol.52, pp.4,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4.465
  2.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um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vol.52, pp.4,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4.517
  3.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vol.53, pp.3, 2014,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3.399
  4. 학교현장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 vol.30, pp.3, 2012, https://doi.org/10.14477/jhm.2017.30.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