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 보안기술 동향

  • 김태경 (서울신학대학교 교양학부)
  • 발행 : 2012.05.31

초록

인터넷은 사회 경제적 상호작용을 위한 기본적인 인프라가 되어 사람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는 반면 여러 가지 다양한 위험들을 가져왔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 어린이의 수가 증가하고, 그 연령이 더 어려지면서 어린이를 온라인상에서 보호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상에서 미성년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COP의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하여 어린이들을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으며(filtering technologies), 특정한 사이트에 어린이를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age or identity verification systems), 인터넷 상에 어린이들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안전지대(walled garden)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대처 방안들은 여러 기술들을 조합하여 사용해야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미성년자들의 개인정보 보안을 고려하여 균형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외에도 COP에서 기술적인 대처방안의 발전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보안기술 사이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표준이 개발되어야 하며, 보호 기술의 장점 및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표준 성능 인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키워드

참고문헌

  1. 박민정, "온라인 아동보호를 위한 ITU의 활동", 방송통신정책 제22권 6호, 2010년 4월.
  2. ISTTF (Internet Safety Technical Task Force) (2008), "Enhancing Child Safety and Online Technologies": Final Report of the ISTTF to the Multi-State Working Group on Social Networking of State Attorney Generals of the United States. Cambridge, MA: Berkman Center for Internet and Society, Harvard University.
  3. OECD (2011), 'The Protection of Children Online: Risks Faced by Children Online and Policies to Protect Them", OECD Digital Economy Papers, No. 179, OECD Publishing.
  4. http://ec.europa.eu/information society/activities/sip/index_en.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