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춘근, 2008, 대구지역 대기 중 미세먼지(PM10)의 고농도 발생빈도와 특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김규현, 2005, 황사기간과 비황사기간의 대구지역 PM10 및 중금속 오염도 특성평가,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김용표, 2006, 서울의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 22권, 5호, pp.535-553.
- 김준현, 최진호, 김충실, 2010, GIS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농도 보간 정확도 비교평가, 환경영향평가, 제 19권, 6호, pp.1-10.
- 나영우, 2002, GIS를 이용한 대기오염의 공간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 나영우, 김중식, 최병길, 2005, GIS를 이용한 TMS 측정망 분포의 적정성 분석, 한국지형공간 정보학회지, 제 13권, 1호, pp.81-87.
- 도상현, 2010, CALPUFF 대기 확산 모델을 이용한 대구 지역 대기질 및 건강 위해도 평가,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선우영, 2007, 수도권 대기개선 특별대책 추진에 따른 대기오염측정망에 의한 대기질 개선여부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대기환경학회.
- 우정헌, 김선태, 김정욱, 1997, 수동측정기에 의한 대기오염 자동측정망의 지역대표성 조사 및 보완방안에 대한 기초연구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13권, 6호, pp.415- 426.
- 유은철, 박옥현, 2007, GIS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한 부산 대기질 측정망의 최적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 23권, 6호, pp.583-591.
- 윤성원, 1997, GIS와 Interpolation 기법의 대기환경분야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전병일, 2009, 부산지역 지역용도별 해안과 내륙의 PM-10 농도 특성, 한국습지학회지, 제 11권, 2호, pp.47-54.
- 정영선, 2010, 주거건물의 전 과정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조은경, 2010, 2008년 국내 배경지역 PM10 및 PM2.5 미세먼지의 화학 조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 조완근, 권기동, 2003, 대구지역 PM-10 오염 관리를 위한 시간적 및 공간적 오염 특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제 13권, 1호, pp.27-36.
- 조홍래, 정종철, 2007,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지도화, 한국공간정보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 조홍래, 정종철, 2009, 공간보간기법에 의한 서울시 미세먼지(PM10)의 분포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제18권, 1호, pp.31-39.
- 한종헌, 2006, 2001-2004년 제주도 배경농도 지역 TSP 에어로졸의 조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 한지현, 이미혜, 김영성, 2008, 전국 도시대기 측정망의 2000-2005년 PM10 농도 군집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 24권, 3호, pp.300-309.
- 홍미옥, 조석연, 2005, 우리나라 도시대기 측정망의 적절성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대기환경학회, pp.308-310.
- 환경부. 2006-2009. 대기환경연보.
- 환경부. 2007. http://www.me.go.kr/
- Bahadur, R., G. Habib, and L.M. Russell. 2009, Climatology of PM2.5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from a review of ground-based atmospheric measurements by evolved gas analysis, Atmospheric Environment vol.43, no.9, pp.1591-1602.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8.12.018
- Cressie. N, 1991, Sta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900.
- Diema, J.E., Comrie, A.C, 2002, Predictive mapping of air pollution involving sparse spatial observa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vol. 119, pp.99-117. https://doi.org/10.1016/S0269-7491(01)00308-6
- ESRI, 2001,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 Statistical Tools for Data Exploration. Modeling and Advanced Surface Generation.
- Eum K.D., 2008, Spatial and temporal assessment of air pollution exposure and its health effiecs, Seoul National University.
- Fuentes, M., 2002, Interpolration of nonstationary air pollution processes; a spatial spectral approach, Statistical Modelling, vol.2, pp.281-298. https://doi.org/10.1191/1471082x02st034oa
- Han D.K., Hwang S.S., 2011, Spatial epidemiology and environment health : On the use of spatially referenced health and environment data, J. Env. Hlth. Sci., vol.1, pp.1-11.
- Hong, Y.C., J.T Lee, H. Kim, E.H. Ha, J. Schwartz, and D.C. Cristiani, 2002, Effect of air pollutions on acute atroke mortality. Environ. Health Persp. https://doi.org/10.1289/ehp.02110187
- Rogas-Avellaneda., D., 2007,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stimating levels of pollutant concentraions in the atmosphere, Revista Mexicana de Fisica, vol.53, no.6, pp.447-454
- Son JY, Bell ML, Lee JT., 2010, Individu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lung fuction in korea : Spatial analysis using multiple exposure approaches, vol.110, pp.739-749. https://doi.org/10.1016/j.envres.2010.08.003
- Stijn Janssen, 2008, Spatial interpolation of air pollution measurements using CORINE land cover data, Atmosphere Environment, vol.42, pp.2882- 2903.
- Wong, D.W., Yuan, L., Perlin, S.A., 2004,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air quality data, Journal of Exposure Analysis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4, pp.404-415. https://doi.org/10.1038/sj.jea.7500338
- Yenisoy-Karakas, S., and Tuncal, S.G., 2004, Geographic patterns of elemental deposition in the Aenean region of Turkey indicated by the lichen, Xanthoria parietina, Th. Fr.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329, pp.43-6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03.003
피인용 문헌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Survival Commercial Facilities Location : Focused on Ordinary Restaurants in Gangnam-gu, Seoul vol.53, pp.2, 2012, https://doi.org/10.17208/jkpa.2018.04.53.2.161
- Inter-comparisons of Spatially Interpolated Short-term and Long-term PM2.5 Concentrations of Local Authorities in South Korea 2015~2017 vol.36, pp.2, 2012, https://doi.org/10.5572/kosae.2020.36.2.185
- Evaluations on PM2.5 Concentrations and the Population Exposure Levels for Local Authorities in South Korea during 2015~2017 vol.36, pp.6, 2020, https://doi.org/10.5572/kosae.2020.36.6.806
- 미세먼지 배출원과 취약계층 분포 추정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 녹지 입지 선정 연구 - 서울시 성동구를 대상으로 - vol.24, pp.1, 2012, https://doi.org/10.13087/kosert.2021.24.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