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가족부양자의 '부양긍정감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aregiving Affirmation Scale' for Korean Caregivers for the Aged
- 장영신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연구원)
- Jang, Young-Shin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Research)
- 투고 : 2011.11.30
- 심사 : 2012.05.28
- 발행 : 2012.05.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에 대한 긍정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부양긍정감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으로는 믹스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부양긍정감"의 척도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질적 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한 문항개발, (2) 1차 설문조사를 통한 문항내용 확인 및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3) 2차 설문조사를 통한 부양긍정감의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노인가족부양자의 "부양긍정감척도"는 총 16문항으로서 '부양기술 충족감', '사회공헌감', '노인에 대한 친근감', '자아존중감'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양긍정감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0.89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부양긍정감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척도는 생활만족도와 0.68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동시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시된 부양긍정감척도는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와 실천현장에서 노인가족부양자의 경험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사회측정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he scale of 'Caregiving Affirmation Scale' for Korean Caregivers for the Aged and to testify the possibility of generalizing the scare. Mixed method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eps of developing the scale were proceeded as follows: Firstly, 40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and the literature reviews. Secondly,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professional group survey in addition to confirm the questionnaire items by the 1st survey. And thirdly,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factors of 'Caregiving Satisfaction' were explored by performing the 2nd survey.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otal 16 items of 'Caregiving Affirmation scale' identified with the four sub-factors as follows; 1) Improvement of the care skill and a sense of fulfillment; 2) Possibility of contributions to other persons; 3) Acceptance of the aged; and 4) Improvement of Self-value. The reliability value of Cronbach's α was 0.89 with the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and each factor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Also the correlation with the affirmative care recogni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0.65, which meant the concurrent validity exists. The Caregiving Affirmation Scale for Korean Family Caregivers for the aged is expected to be used at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ettings for the ag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