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sign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Feminine Head Ornament for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전통 여성 수식의 디자인 선호도 연구

  • Kwon, Jin (Dept. of Fashion Design, Hanseo University) ;
  • Kim, S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권진 (한서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12.01
  • Accepted : 2012.02.20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the contribution to globalize and modernize the traditional Korean image by comprehending the taste of design that domestic college students have for traditional feminine head ornaments and subsequently elaborat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related to these decorative objects. In regards to this research method, the examination on the traditional feminine ornaments was followed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ecedent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eference about them. After the adoption of final valid responses, an analytical method, PASW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tegory of tendency analysis for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feminine headpiece in fashion cultural products, it was revealed that a taste for the design that meet the satisfaction for both trend and practicability was prominently prevalent. Also, the design that expres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was taken as a preferred option. Second, in the preference for the design of traditional feminine headpieces in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odern type was preferred in the form of re-creation as long as those products deform the tradition. As for the selective taste for patterns, their preference came in the order of plant, animal, and geometry-abstract types. Especially, for the case of plant and animal patterns, the reinterpreted design of modernized shapes were opted rather than a simply recopied format of the conventional type of the feminist head ornament. Third, for the category of item selection to apply the feminine head ornament in order to design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it turned out that people preferred the application to accessory rather than clothing. Lastly, it was found that rarity, harmony with other fashion goods, pattern, and desig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traditional motif was used for cultural products.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실, 도월희 (2010), 광주지역 패션문화상품의 전략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2), p. 122.
  2.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 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 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p. 968.
  3. 김선영 (2010), 전통 꽃담 문양을 이용한 패션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18(4), pp. 731-740.
  4. 김선영 (2010), 전통 창살 문양을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 60(9), pp. 16-25.
  5. 김소형 (2005), 패션문화사품 디자인 개발-전통 조각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현주, 서수현, 장남경 (2005), 태극기를 응용한 패션 상품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복식, 55(4), pp. 1-15.
  7. 손경필 (2000), 전통 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재민 (2002), 지역문화를 기반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종분, 이수철 (2000), 한국의 전통 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집, 6(1), pp. 456-468.
  10. 정진순 (2009), 조선 청화백자에 표현된 사군자 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패션제품 제작,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pp. 242-251.
  11. 남재경, 금기숙 (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 문화상품의 현화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2004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52-353.
  12. 이우휘 (2002), 한국전통 문화고찰을 통한 문화상품개발 방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진화, 김민자 (2004),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의류학회 2004춘계학술대회논문집, p. 35.
  14. 정온슬기, 정성혜 (2001), 우리나라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과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 pp. 187-208.
  15.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 전통문양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pp. 96-105.
  16. 김하연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하연, 이유리 (2008),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한국인 여성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한국의류학회지, 32(11), pp. 1715-1725.
  18. 문희강, 윤초롱 (2011), 청소년들의 전통 문화인식에 따른 한국적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이미지 연상, 한국의류학회지, 35(1), pp. 51-62.
  19. 이진화 (2006), 한국 패션문화상품 소비자에 대한 시장 세분화와 구매행동 연구-방한 일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pp. 427-432.
  20. 장세정, 이유리 (2008), 방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69-680.
  21. 조윤경 (2008), 소비자 특성과 점포요인에 따른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윤진 (2007), 한국 방문 외국인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조윤진, 이유리 (2007),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복식, 57(10), pp. 74-86.
  24. 이지연 (2010), 전통 관광기념품 기획을 위한 외국인 관광객의 선호도 및 구매행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고쟁 (2010),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장식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봉희 (200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현대적 변용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손희정 (2004), 전통문양의 이미지를 활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송연진 (2005), 조선후기 여성 수식의 장식적 요소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유정 (2008), 조선 후기 여성수식 장신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현영 (2009),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홍은정 (2008), 조선시대 규방문화를 반영한 의상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홍은정 (2008), 조선시대 규방문화를 반영한 의상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33. 한석홍, 임원순 (2007), 궁중유물, 서울: 대원사, p. 111.
  34. 조현영 (2009),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7.
  35. "화접뒤꽂이", 자료검색일 2011. 11. 8, http://museum.sookmyung.ac.kr/
  36. 장숙환 (2002), 전통장신구, 서울: 대원사, pp. 44-46.
  37. "선봉잠", 자료검색일 2011. 11. 8, http://www.gogung.go.kr/royal/search_view.jsp?no=64&rn=45&tot=1515&gubun=&pg=6&searchvalue=&ret=search
  38. 조현영 (2009),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문양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4.
  39. 고쟁 (2010),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장식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7.
  40. 장숙환 (2002), 전통장신구, 서울: 대원사, p. 22.
  41. 장숙환 (2002), 전통장신구, 서울: 대원사, p. 44.
  42. 강나영 (2010), 프리미엄 진 선호 및 구매의도의 영향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7-88.
  43. 이지연 (2010), 전통 관광기념품 기획을 위한 외국인 관광객의 선호도 및 구매행동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9-86.
  44. 채지원 (2010), 컨템포러리 패션 트렌드 선호도 분석에 기반 한 여성복 상품 기획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9-157.
  45. 최선진 (2007), 현대 여성의 웨딩문화 변화에 따른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2-79.
  46. 장숙환 (2008), 조선시대의 전통장신구를 보는 열린 눈, 복식, 58(5), pp. 51-70.
  47. 전지현, 앤드류 래프터리 (2009), 전통문화 정체성에 관한 조형성 특성과 패션문화상품 개발, 복식, 59(7), pp. 65-76.

Cited by

  1.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방안 연구 vol.26, pp.2, 2012, https://doi.org/10.29049/rjcc.2018.26.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