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본 소녀만화의 표현기법의 변화에 관한 고찰 : 1958~1963년의 소녀잡지 만화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Expression Technique in Shojo Manga : Focusing on the Manga of Shojo Magazine in 1958-1963

  • 김소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 정규하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애니메이션 전공)
  • 발행 : 2012.06.30

초록

다양한 만화 장르 중에서 한국의 순정만화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소녀만화'는 일본에서 시작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 된 만화 장르이다. 그리고 소녀만화를 다른 장르와 구분 하는 특징의 하나는 내면의 세계를 그리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에 발간된 "소녀", "소녀 클럽", "소녀 북"등의 소녀 잡지에 실린 만화의 시각적 표현, 특히 꽃의 표현과 칸나누기 연출, 속표지의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이 시기의 작품들이 소녀만화의 기본적인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특히 당시 소수의 여성 작가들에 의해 활발하게 시도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면세계와 주인공의 심리를 시각적으로 표현 하는 특징들은 이미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에서도 드러나 있었다. 소녀만화는 많은 선행 연구자들로부터 1970년대 초반 '황금기'를 맞이하며 그 형식과 표현 방법을 완성 시킨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일본 소녀만화 연구는 소녀만화의 황금기라 불리는 시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작품이 등장하고 스토리와 시각적 표현에서 완성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독자들의 지지를 받는 인기 작가들이 등장했고, 인기 작가의 등장은 소녀만화 독자층의 확대로 이어졌다는 부분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들 소녀만화가 갖는 독특한 시각적 표현이 언제부터 등장 했는가에 대한 연구, 즉 초기 소녀 만화 연구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렇듯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의 소녀만화는 1970년대의 소녀만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판된 소녀잡지 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소녀만화가 성립되는 과정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했던 작품과 작가들에 대해 재평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녀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원류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에 대한 새로운 제시가 될 것이다.

Shojo manga, one of Japan's comic genres, is well-known around the world. There is an equivalent manga genre in Korea and it is called Sunjeong Manhwa. What distinguishes shojo manga from other comic genres is its uniqu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inner world of comic characters. In this study, shojo manga depicted in various shojo magazines in the early 1960s are analyzed. The magazines reviewed include Shojo, Shojo Club and Shojo Book. Amo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flower expression, panel composition and title page design a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basic elements of shojo manga are portrayed well in manga published in the early 1960s, during which several female cartoonists actively led the creation of the said genr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representations adopted in shojo manga for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inner world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main characters were already evident in the early 1960s. According to earlier studies, shojo manga reached its golden age in the 1970s, when the genre's format and representation method were developed to its full extent. Therefore, studies investigating shojo manga often focused on this golden era, during which a variety of comics emerged and stories and presentation skills further improved. An increasing number of readers began reading shojo manga. Popular cartoonists also emerged, further accelerating the genre's burgeoning popularity. However,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unique representations found in shojo manga. This means that the shojo manga published between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were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ose published in the 1970s. The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reassess the comic works and cartoonists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shojo manga by analyz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published from 1958 to 1963. This study proposes new ideas on when the unique representations of shojo manga first emerged and how those representations were describ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소원, 일본 소녀만화의 시각적 원류에 관한 고찰: 나카하라 준이치의 작품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18호(2010), pp.1-15.
  2. 大塚英志, 戰後まんがの表現空間-記號的身体の呪縛, 法藏館, 1994.
  3. 大塚英志 編, 少女雜誌論, 東京書籍, 1991.
  4. 國際協力總合硏究所, 日本の敎育經驗, 國際協力機構, 2003.
  5. 竹內オサム, マンガ表現學入門, 筑摩書房, 2005.
  6. 竹宮惠子, 竹宮惠子のマンガ敎室, 筑摩書房, 2001.
  7. 中野晴行, マンガ産業論, 竹間書房, 2004.
  8. 中村圭子.外館圭子編, 少女雜誌ふろくコレクション, 河出書房新社, 2007.
  9. 夏目房之介, マンガはなぜ面白いのか-その表現と文法, 日本放送出版協會, 1997.
  10. 夏目房之介, 夏目房之介の漫畵學, ちくま文庫, 1992.
  11. 夏目房之介, 竹內オサム, マンガ學入門 ミネルヴァ書房, 2009.
  12. 藤本由香里, 私の居場所はどこにあるの?-少女マンガが映す心のかたち, 朝日文庫, 2008.
  13. 米澤嘉博, 別冊太陽 少女マンガの世界I, 平凡社, 1991.
  14. 米澤嘉博, 戰後少女マンガ史, ちくま文庫, 2007.
  15. 四方田犬彦, 漫畵原論, 筑摩書房, 1994.
  16. 渡部周子, <少女>像の誕生-近代日本における 少女 規範の形成, 新泉社, 2007.
  17. 手塚治虫, リボンの騎士<少女クラブ版>, 講談社漫畵文庫, 2000.
  18. 雨宮俊彦, 住山晋一, 增田のぞみ, マンガ表現の時空 : レイヤ一分解.少女マンガのコマ.マンガ表現の感性認知記號論, 關西大學社會學部紀要, 第33券第2號(2002), pp.1-191.
  19. 大城房美, 手塚治虫と少女マンガのグロ一バル化-北米における リボンの騎士 の受容を中心に-, マンガ硏究, Vol.14(2008), pp.72-80.
  20. 岡本芳枝, 少女マンガのコマ割りについて, マンガ硏究, Vol.1(2002.5), pp.117-120.
  21. 押山美知子, リボンの騎士 における"少女マ(ンガ"の形, マンガ硏究, Vol.14(2008.10), pp.44-54.
  22. 笹本純, 少女マンガにおける 重層的 な語り-鈴木たくの作品を例として, マンガ硏究 Vol.1(2002.5), pp.121-129.
  23. 藤本純子, 戰後 少女小說 における戀愛表象の登場, マンガ硏究, Vol.8(2005.10), pp.21-25.
  24. 藤本由香里, 少女マンガの源流としての高橋眞琴, マンガ硏究, Vol.11(2007.3), pp.64-91.
  25. 高橋眞琴, http://www.macotogarou.net, 2012년 4월 2일.
  26. 少女マンガラボラトリ一圖書の家, http://www.toshonoie.net/index.html, 2012年 4月 1日.
  27. 少女マンガラボラトリ一圖書の家, 少女漫畵資料室, http://www.toshonoie.net/shojo/05_list/hosokaw a-works.html, 2012年 4月 1日.
  28. 石森章太郞, 三つの珠, 少女クラブ, 1958年 10月.
  29. 高橋眞琴, あらしをこえて, 少女クラブ, 1958年1月.
  30. 高橋眞琴, あらしをこえて, 少女クラブ, 1958年 7月.
  31. 高橋眞琴, プリンセス.アン, 少女クラブ, 1960年 4月.
  32. 高橋眞琴, プリンセス.アン, 少女クラブ, 1960年 10月.
  33. 細川智學子, 母の名をよべば, 少女クラブ, 1960年 4月.
  34. 細川智學子, 母の名をよべば, 少女クラブ, 1961年 6月.
  35. 細川智學子, 母の名をよべば, 少女クラブ, 1961年 8月.
  36. 細川智學子, 母の名をよべば, 少女クラブ, 1962年 4月.
  37. 牧美也子, 少女三人, 少女, 1958年 8月.
  38. 牧美也子, 少女たち, 少女, 1962年 3月.
  39. 望月あきら, わたしの名は${\cdots}$ゆり!, 少女, 1961年 11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