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죽은 시간들(Les Temps Morts), 르네 랄루(René Laloux) 작, 1964>의 환상성

The 'Fantastic' in the René Laloux's movie

  • 한상정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박상천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발행 : 2012.06.30

초록

르네 랄루가 1964년에 발표한 <죽은 시간들>은 실사필름,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 이렇게 네 가지의 표현형식이 결합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의 다른 어떤 작품들보다도 기묘하며, 전체적인 테마는 감지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불명확한, 불확실한 어떤 것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런 감정은 이 작품이 '환상적'이라고 판단하게 만든다. 이 논문은 '환상성'이란 무엇이며, 이 작품에서는 무엇을 통해 환상성이 산출되고 있는가를 분석하려고 한다. 우리가 환상성을 토도로프의 정의에 따라 '현실성과 비현실성사이의 망설임'이라고 규정한다면 이 작품만큼 적절한 예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전체적으로 <죽은 시간들>이 이러한 인상을 남긴다면, 이 인상들은 작품의 텍스트적 특징과 상관적일 것이며, 텍스트의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우선, 롤랑토퍼의 두 가지 그림체 중 한 가지 그림체가 시선을 끈다. 이 그림체만으로 환상성을 일부 제공할 수 있지만, 랄루가 이 하나의 그림체로 작품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비현실성과는 거리가 있는, 현실성, 핍진성에 기반하고 있는 실사필름과 사진형식 역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작품을 진행순서대로 시각적 표현형식과 청각적 표현형식에 따라 분해하면서 전체적인 구성과 구조를 파악해야만 한다. 이 분해를 통해 우리는 네 가지 표현형식들이 청각적 표현형식(음악과 내레이션)에 의해서 하나의 통일체로 통합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 통일체로 완벽하게 통합되지 않는 부분들을 남겨두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랄루는 작품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관객을 현실로 끌고 가지만, 마지막 순간에 또 다시 비현실성이 강한, 해석이 정확하지 않은 시퀀스들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또다시 현실과 비현실사이에서 망설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품의 환상성이 강화된다. 결국 이 작품은, 시각적인 차원에서의 환상성, 작품의 구성과 구조적인 차원에서의 환상성, 또 총괄적으로 이들을 통한 전체 이야기 해석의 불가해성을 남김으로써 관객에게 풍부한 환상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at showing specificity of the 'fantastic' in the movie < Les temps morts (on 1964) > directed by Ren$\acute{e}$ Laloux (1929-2004 ), all over the world recognized director. This movie has a particular style by composing four forms of expression: the real recording (movie), the recording embellishes with images by image (animation), the drawing, the photo. This film is the most strange among his all films. Even if we could catch the key meaning of the film, it offer for the audience the sentiment incertain and unclear. If we consider 'the fantastic' as a hesitation between the real and the unreal, in diverse levels, this movie offers to the spectators the fantastic feelings. In order to present the way this film shows us the fantastic, we divide the film into 15 sequence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visual elements and the auditive elements. We analyze specificities of this fantastic in diverse levels. At first, the first style of the drawing of Roland Topor, does not let us escape easily from the feeling of fantasy. The four representation formats(drawing, photo, animation, movie) are integrated into one whole by auditive elements(music, narration). On the other hand, certain parts incomprehensible are not integrated into the entire. are fully integrated into the unity that does not understand that part, leaving them can. Laloux leads the audience into a reality toward the end of the film, but he leave incertain sequences at the last moment. Through which the audience is again hesitant between the real and the unreal, the fantastic is strengthened as a result of the work. Finally, the fantastic of the film could be found at three levels. First, the fantastic drawing style of Roland Topor. In the second place, the fantastic exposed through the entir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work. Overall, these by leaving through the availability of the story incomprehensible to the audience is to provide a fantastic senti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송선령, "한국 현대 소설의 환상성 연구-이상, 장용학, 조세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9,2).
  2. 이유선, 판타지 문학의 이해, 역락, 2005,
  3. 츠베탕 토도로프, 이기우 역, 덧없는 행복-루소론: 환상문학서설, 한국문화사, 1996.
  4. Wikipedia, http://fr.wikipedia.org/wiki/Ren%C3%A9_Laloux, 검색어: Rene Laloux, 2012년 4월 25일.
  5. Rene Laloux, maitre de l'animation francaise, http://www.1kult.com/2010/07/19/rene-laloux-maitre-de-lanimation-francaise, 2012년 4월 25일.
  6. <죽음의 시간> (Les Temps morts, 1964).
  7. <달팽이> (Les Escargots,1965).
  8. <야생의 행성> (La Planète sauvage, 1973).
  9. <시간의 지배자> (Les Maîtres du temps,1981).
  10. <강다르> (Gandahar,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