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twork Structure of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and Resource Exchange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와 자원교환

  • Received : 2012.03.20
  • Accepted : 2012.04.04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of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and analyze network variables and resource exchange. This study selected 127 players of Korean professional volleyball in ten team of male and female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general social survey of NGQ(Name Generator Question) and interview. To analyze data, NetMiner 3.0 and SNA(social network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 based on above study method and the result of material analysis are here below. First, social network of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is scale-free network following power law. Centrality and herb of club members' network show up richer-get-richer and poor-get-poor by collecting links of back of beyond. Second, social network structure of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influence resource exchange.

이 연구는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를 분석하고, 연결망 주요 변수와 자원교환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2011년 한국 프로배구팀 중 남자 5개팀과 여자 5개 팀의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14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127명이다. 조사방법은 NGQ(Name Generator Question)를 이용한 면접법을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방법은 NetMiner 3.0을 활용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은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척도없는 네트워크였다. 즉, 중앙에 놓여 있는 소수의 선수(노드)가 변방이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선수와의 사회적 관계를 끌어 들이는 부익부 빈익빈 형태를 보였다. 둘째,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 구조는 자원교환과 유의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즉, 내향 활동성이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외향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교적 자원교환에서, 매개중앙성이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내향 파워가 높을수록 사교적 자원교환에서, 그리고 외향 파워가 높을수록 모든 자원교환에서 유리하였다. 프로배구 선수의 사회연결망에서의 중앙과 변방의 자리매김 위치는 선수들간의 자원교환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2011. 4. 12.
  2. 권장원, 한국 방송 정책 환경에서의 사회적 연결망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0.
  3. 김대중, 한국 정부 권력 구조의 연결망 분석: 김영삼 김대중 정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2.
  4. 백완기, "공직부패에 대한 연결망 이론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pp.79-100, 2000.
  5. 서규석, "지방 정치 엘리트의 사회관계망에 관한 연구", 사회발전연구, 제1호, pp.197-219, 1995.
  6. 이세환, 김우성,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교우관계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53-577, 2009.
  7. 김경식, "축구 동호인의 신뢰연결망 구조와 사회적 자원교환에 대한 관계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2권, 제2호, pp.75-94, 2009.
  8. 김우식, "구조와 전략의 쌍대성: 연결망 구조와 통제 행위의 한 연결망식", 한국사회학, 제35권, 제5호, pp.63-92, 2001.
  9. 박성준, 지역사회연결망과 정책수용에 관한 연구:경기도 남양주군 조안면의 환경농업 직접지불제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1.
  10. 박찬웅, "경쟁의 사회적 구조: 기업내 신뢰의 사회적 연결망과 개인의 조직내 성과", 한국사회학,제33권, 제4호, pp.789-817, 1999.
  11. 장덕진, "학급내 연결망과 학습성과", 사회과교육학연구, 제4호, pp.161-185, 2000.
  12. 김효정, "자생적 교사 연구모임의 사회연결망 분석: 초등학급경영연구회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24권, 제2호, pp.173-200, 2006.
  13. 김용학, 사회연결망 이론, 서울: 박영사, 2007.
  14. 서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일반사회조사 방법을 사용한 연결망 분석, 1998.
  15. A. L. Barabasi,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East-Asia Publishing Company, 2002.
  16. M. S. Granovetter,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A theory of embeddedn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1, pp.481-510, 1985. https://doi.org/10.1086/228311
  17. M. E. J. Newman, Models of the small world. Sante Fe Institute Technical Paper, 2000.
  18. D. J. Watts, "Networks, Dynamics, and the small-world phenomen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No.105, pp.493-527, 1999. https://doi.org/10.1086/210318
  19. P. Blau,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Y: Wiley, 1964.
  20. R. Emerson, "Power-dependence relat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No.26, pp.31-41, 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