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 영향요인 분석

  • Received : 2012.04.12
  • Accepted : 2012.05.14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As medical practices and procedures become more specialized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in clinical settings, health organizations need medical personnel with special skills, knowledge and competency. But the lack of practical experience in clinical settings may impair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distributed in several universities among 106 nursing students who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ring December 2011 in order to measure self-directedness, professional self-concep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des, existence of an open lab.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ness were deemed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These 3 elements account for 49.9% of competency with regard to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blended learning methods which consist of problem based learning, cyber education or case centered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eveloping clinical nursing skills.

의료분야의 전문화와 정보화로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간호기술은 증가하고 복잡해진 반면, 임상에서의 실습교육이 위축되면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과 방법의 강화 및 개선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4년제 간호학과에서 기본간호학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대인관계, 성적 및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 여부에 따라 기본간호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성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기본간호수행능력 총 변량의 49.9%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서 기본간호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습실 개방 자율 실습방법을 적용하고 간호학생의 지각된 대인관계 정도와 성적 특성을 고려하며, 자기주도성, 전문직 자아개념, 의사소통능력 및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blended learning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지호, "simulation을 이용한 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의 방향," 2011년도 한국간호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2011.
  2. 이명선, 한숙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26-234, 2011.
  3. 김미원, 핵심간호능력 중심의 간호학 실습교육목표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 박정숙, " 간호교육 핵심 역량 실기중심평가," 간호교육 핵심역량(기본간호실기 중심) 평가 공청회 자료집, 한국간호평가원 주최, 2011.
  5. J. D. Jeggels, A. Traut, and M. Kwast, "Revitalization of clinical skills training at the University of the Western Cape," Curationis, Vol.33, No.2, pp.51-59, 2010.
  6. 이명하, 김현경, 정석희, 문인오,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과제수행방식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따라 문제해결능력과 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06-114, 2011.
  7. 남미라,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에서 웹기반 학습의 효과 -무균술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 기본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pp.290-297, 2005.
  8. 김영희,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동영상 사전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성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40-249, 2010.
  9. S. Hosny, A. M. Mishriky, and M. Youssef, "Introducing computer-assisted training sessions in the clinical skills lab at the Faculty of Medicine, Suez Canal University," Medical Teacher, Vol.30, No.2, pp.35-40, 2008. https://doi.org/10.1080/01421590801919506
  10. 김윤민, 김윤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12-320, 2010.
  11. 강현옥,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 만족도,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유문숙,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개발 및 효과분석-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3. 이원희, 김조자, 유지수, 허혜경, 김경숙, 임성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연세대학교 간호학 논문집, 제13호, pp.17-29, 1990.
  14.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 효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5. American Nurse Association, "Ad Hoc committee on nontraditional study for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continuing education in learning, Kansas city, 1978.
  16. P. J. Guglielmino, L. M. Guglielmono, and H. B. Lo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implication for business, industry, and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16, No.3, pp.303-317, 1987. https://doi.org/10.1007/BF00148972
  17.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8. D. Arthur,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Master of Educational Thesis, University of New Castle, Australia, 1990.
  19. 송경애, 노춘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94-106, 1996.
  20. J. Reusch, Therapeutic communication. New York : W.W.Norton & Co.,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2. 박선남, 이선경, "간호대학생의 기본간호수기 수행능력의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13, 2008,
  23. 성미혜, "간호대학생의 학제 간 성취동기,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관련성 비교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90-98, 2010.
  24. 신경아, 조복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46-56, 2012.
  25. 양진주,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59-165, 2009.
  26.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1-78, 2011.
  27. 변영순, "4년제 간호대학(과)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69-176, 2005.
  28. 유문숙, "기본간호학 실습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7권, 제1호, pp.60-70, 2000.
  29. S. Beeson and D. L. Kring, "The effects of two teach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factual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psychomotor skill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8, No.8, pp.357-359, 1999.
  30. 박미영, 김순이,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첫 임상실습 체험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1호, pp.23-35, 2000.
  31. 권말숙,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87-394, 2011.
  32. 조복희, 고미혜, 김순영,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웹기반 학습이 유치도뇨술 수행능력, 지식,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48-255, 2004.
  33. 백훈정, "실습실 개발 자율 실습방법 적용이 기본간호학 실기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육평가적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3-20, 2004.
  34. 유문숙, 유일영, 손연정, "OSCE 평가방법이 기본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고열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73-80, 2003.
  35. 한국간호평가원, "2012년도 간호교육인증평가 대학설명회", 한국간호평가원주최, 가톨릭대학교의과학연구원 대강당, 2012년.
  36. 김희순, 장화경, "간호학에서의 사이버 교육에 대한 학습만족도와 학습경험 분석," 연세의학교육, 제3권, 제1호, pp.77-85, 2001.
  37. 박은희, 황선영,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수술간호 학습콘텐츠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84-392, 2011.
  38. 김영일,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사례중심 정맥주사간호 실습교육의 효과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유문숙, 박진희, 이시라, "비디오활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6호, pp.863-871, 2010.
  40. 권병수, Blended Learning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과제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1. 배영숙, 이숙희, 김미희, 선광순,"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84-190, 2005.
  42. H. S. Kwak and H. S. Jang,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program for scientific problem solv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ol.28, pp.340-351, 2009.
  43. T. L. Levett-Jones, "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25, No.5, pp.363-368, 2005. https://doi.org/10.1016/j.nedt.2005.03.003
  44. E. O'Shea,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e educatio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3, No.1, pp.62-70, 2003.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673.x
  45. M. B. Carter, G. Wesley, and G. M. Larson, "Lecture versus standardized patient interaction in the surgical clerkship: A randomized prospective cross-over study,"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191, pp.262-267, 2006. https://doi.org/10.1016/j.amjsurg.2005.06.045
  46. M. Ehnfors and S. J. Grobe, "Nursing curriculum and continuing education: future dir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Vol.73, No.7-8, pp.591-598, 2004. https://doi.org/10.1016/j.ijmedinf.2004.04.005
  47. F. Patterson, E. Ferguson, and S. Thomas, "Using job analysis to identify core and specific competencies: implications for selection and recruitment," Medical Education, Vol.42, pp.1195-1204, 2008.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8.03174.x
  48. G. Boschma, R. Einboden, M. Groening, C. Jackson, M. MacPhee, H. Marshall, K. O. Magee, P. Simpson, P. Tognazzini, C. Haney, H. Croxen, and E. Roberts,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7, No.1, pp.28-41, 2010.
  49. 현경선, 강현숙, 김원옥, 박선희, 이지아, 석소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당뇨식이교육 동영상학습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2호, pp.249-268, 2009.
  50. 박영숙, 임숙빈, 김현숙, "자기이해를 강화한 의사소통 간호교육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8 권, 제3호, pp.361-368, 2009.

Cited by

  1. A Structural Model on the Nursing Competencies of Nursing Simulation Learners vol.48, pp.5, 2018, https://doi.org/10.4040/jkan.2018.48.5.588
  2. An Ethnography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lass vol.25, pp.1, 2018, https://doi.org/10.7739/jkafn.2018.25.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