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 among Personal,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 Focused on the Workers in the Banwol·Siwha Industrial Complex-

근로자의 개인적·직업적 특성과 노후준비와의 관계 - 반월·시화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

  • 최명화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최수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2.04.12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eneral concept and preparation process for successful aging. At the same time another object is to find out factors which were affecting influences on the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2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ver 40 years-old workers working in Banwol and Siwha industrial complex in Kyeonggi-do. Using 261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executed with SPSS 18.0 to fulfill the purposes.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alth cond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eneral preparation for old age, but age, educational career, monthly income, relig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had partially positive effects. Second,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economical preparation for old age, but job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al preparation only. Third, Age, educational career, spouse, religion, health condit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showed different effects on those preparations.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성공적 노화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위해서 어떻게 노후를 준비하여야 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근로자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그 요인들이 노후준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하는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에 근무하고 있는 40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10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총 280부였고, 이중 결측값이 있는 자료를 제외한 총 26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차이검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노후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건강상태가 전반적인 노후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연령, 학력, 월 평균수입, 종교, 그리고 자녀수가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분석에서 직무만족은 신체적 노후준비와 경제적 노후준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업몰입은 경제적 노후준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도의 차이분석에서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종교유무, 건강상태, 그리고 자녀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R. L. Kahn, "Successful aging: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a concept," In L. W. Poon, S. H., Gueldner & B.M. Spouse(Eds) Successful aging and adaptation with chronic diseases, New York: Springer, pp.55-69, 2003.
  2. P. B. Baltes and M. M. Balte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 N. 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 S. B. Laditka, S. J. Corwin, J. N. Laditka, L. Liu, W. Tseng, B. Wu, R. L. Beard, J. R. Sharkey, and S. L. Ivey, "Attitude aboutaging well among a diverse group of older Americans: Implications for promoting cognitive health," The Gerontologist, Vol.49, No.S1, S30-S9, 2009. https://doi.org/10.1093/geront/gnp084
  4. 홍현방, 성공적 노화개념 정의를 위한 문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0, pp.95-116, 2003.
  6. 백지현, 최혜경,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학회지, Vol.11, No.1, pp.80-91, 2005.
  7. 성혜영, 조희선, "Rowe와 Kahn의 구성 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Vol.26, No.1, 105-123, 2006.
  8.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Green, 1953.
  9. R. D. Putm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2000.
  10. 박길성,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Vol.45, No.2, pp.109-139, 2002.
  11. 박희봉, 이희창,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비교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09-728, 2005.
  12. 홍성희, 김순미, 김혜연, "남성 봉급생활자의 은퇴 전 생활설계프로그램; 생활문제 인식 및 대처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3호, pp.95-115, 2006.
  13. 강유진, "한국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30. 40. 5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6, No.4, pp.159-174.
  14. 여윤경, "한국 중산층 가계의 노후자금 적정성 연구", 한국 노년학, 제25권, 제1호, pp.21-36, 2005.
  15. 박창제,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 연구, 제24권, 제4호, pp.139-166, 2008.
  16. 백은영, "은퇴 후 소득 적정성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사회보장 연구, 제24권, pp.27-51, 2008.
  17. 이정화, "광주.전남 중년층의 신체적.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제20권, pp.275-289, 2000.
  18.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9. 최정숙, "내.외 통제성이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희행정논총, Vol.20, No.1, pp.45-70, 2007.
  20. 김지영,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1. 김남순, 중년층 근로자의 노후설계 인식에 관한 연구-개인적.사회경제적 특성과 정부정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2. 황승일, 초기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3. J. C. Glass and B. Kilpatick, "Gendercomparisons of baby boomers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Educational Gerontology, Vol.24, pp.719-745, 1988b.
  24. K. Perkins, "Social (in)security: Retirement planning for women," Journal of Women and Aging, Vol.7, No.1-2, pp.737-753, 1995.
  25. V. Richardson, and K. M. Kilty, "Adjustment to Retirement: continuity vs Discontinuity," Internati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33, pp.151-169, 1991. https://doi.org/10.2190/6RPT-U8GN-VUCV-P0TU
  26. K. M. Kilty and J. H. Behling,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among professional workers," The Gerontologist, Vol.26, No.5, pp.525-530, 1985.
  27. V. A. Bengtson and K. R. Allen, "The life Course Perspective Applied to Families Over Time," In P. G. Boss, W. J. Doherty, R. LaRossa, W. R. Schumm, & S. K. Steinmetz(eds). Sourcebook of Family Theories and Methods: A Contextual Approach. NY:Plenum Press, 1993.
  28. 김외숙, 도시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장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29. 김성희,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30. 김기태, 장년층 노후준비 태도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1. 지민선, 농촌 중년 여성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2. 배문조,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Vol.42, No.7, pp.89-102, 2004.
  33. 최정숙, "내.외 통제성이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경희행정논총, Vol.20, No.1, pp.45-70, 2007.
  34. 김미경, 중년층의 노후생활준비 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5. 김문을, 중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스트레스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6. 송명숙, 중.장년기 여성의 특성과 노후대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37. 양순미.홍숙자(2002), "중년기 농촌여성의 노후 준비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pp.
  38. 이승아, 1998,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41-146.
  39. 김병윤, 중년층의 노후생활 준비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0. 성말순, 중년 여성의 노후 생활 준비와 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1. 손덕순, "용인시민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용인학연구, Vol.2, No.1, pp.134-159, 2006.
  42.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 "중년층의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Vol.43, No.1, pp.135-156, 2009.
  43.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45-262, 2012.
  44. 임희정, 중년층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5. 강영숙, 고령화 사회 중장년층 여성의 노후준비의식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6. 신승희,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7. S. Gee and J. Baillie, "Happily ever after An explor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Vol.25, No.2, pp.109-128, 1999. https://doi.org/10.1080/036012799267909
  48. 이승아, 중년기 직장남성의 퇴직에 대한 태도와 퇴직 후 생활계획,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9. 호정화, 교사의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50. 신계수, 조성숙, "중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96-3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96
  51. S. M. Colarelli and R. C. Bishop, "Career commitment: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Grou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15, pp.158-176, 1990. https://doi.org/10.1177/105960119001500203
  52. P. C. Morrow and R. E. Wirth, "Work commitment among salaried professiona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4, pp.40-56, 1989. https://doi.org/10.1016/0001-8791(89)90063-8
  53. P. C. Morrow,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work commitment, Greenwich, Connecticut: JAI Press Inc. 1993.
  54.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Green, 1953.
  55. R. D. Putm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2000.
  56. M. Szinovacz, "Preferred retirement timing and retirement satisfaction in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4, No.4, pp.301-317, 1987. https://doi.org/10.2190/AL6J-E7XU-QB7L-R8GE
  57.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3호, pp.97-119, 2010.

Cited by

  1.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vol.11, pp.12,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121
  2. The Effect Analysis of Aging Preparation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Medical Workers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65
  3. Study on Factors for Efficacy and Purpose of Starting Business after Middle Aged Workers' Retirement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