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Exploration on Selective & Combined Giving -Comparison of General Participation and Intensive Participation-

기부와 자원봉사에의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누가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누가 결합적으로 참여하는가?-

  • Received : 2012.02.16
  • Accepted : 2012.03.30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study is targeted to understand the giving of time and money among citizens in Seoul. It explores predictors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giving behaviors: only volunteering, only donating, doing both, and neither. In exploring predictors, it also considers the effects of intensity in giving with differential measurement of general participation and regular participation.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Seoul Welfare Panel Survey Data in 2008 and 2010 and employes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selection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s, pro-social attitude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these four type of giving behaviors. The findings show that previous giving experiences(+) and religious activiti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both selective and combined giving behavior. Gender(woman), income(+), educ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iving behaviors(only donating and doing both) related with donation. In the case of employment state, unemploymen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volunteering while employmen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donating. Finally, happines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tensive giving such as regular giving rather than general giving. This analysis has made a start in a new area of inquiry attempting to explain different giving behaviors with broadening and promoting understanding on giving behaviors. Moreover, it raise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trategic practice for resource mobilization of NPOs.

본 연구는 나눔행동이 선택적으로 혹은 결합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나눔행동을 네 가지(비참여, 기부에만 참여, 자원봉사에만 참여,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 참여)로 세분화 한 후 다양한 형태의 나눔행동에의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자료로는 서울복지패널 1차 및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나눔행동에의 참여여부 및 정기적 참여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의 나눔경험과 종교활동은 현재의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중, 성별(여성), 소득수준(+), 교육수준(+), 취업상태 등은 기부와 관련된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상태의 경우 미취업은 자원봉사행동과, 취업은 기부행동과 보다 큰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 역시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에의 정기적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온 질문인 '누가 각기 다른 형태의 나눔행동에 참여하는가?'와 관련해서 이의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