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coming Nutrient into Shindu Coastal Dune, Korea

신두해안사구지대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

  • Yu, Keun-Ba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ung-Ho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Hyun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Kentucky) ;
  • Kim, Sung-Hwan (Department of Geography, Silla University)
  • Received : 2012.03.26
  • Accepted : 2012.04.23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Shindu Coastal Dune as habitat, and relationship between geodiversity and biodiversity. It was identifie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coming nutrients depended on geomorphic differences of foredunes. The main incoming path of nutrients into coastal dune was considered as influx with movement of wind blown sands from the beach and tidal f lat. Concentrations of Na, Mg, K, Ca, and P in blown sands were compared. Concentrations of Na, Mg, and K showed high and irregular pattern in favorable condition of influx of blown sand. So these nutrients were related with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foredunes. However, Na was also influenced by other factor such as salt spray. P was independent from effects of sea water and blown sands. In the case of Ca, a large coastal dune system rather than localized forms of foredunes made differences in the variation. Due to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variation of nutrients, patterns of major vegetation could be inferred to appear differently. This study shows geomorphic dynamics of coastal dunes as habitat, and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coastal dune management and for understanding biological distribution and growth pattern in coastal dune.

이 연구는 생물서식처로서의 신두해안사구의 특성을 밝히고, 해안사구 내에서 지형다양성과 생물다양성 간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신두해안사구지대에서 전사구 형태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영양염류 유입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양염류의 주요 유입 통로를 바람에 의한 해빈 모래의 이동으로 설정하였으며, 서로 다른 형태적 조건을 지닌 세 유형의 전사구에서 일정기간동안 유입된 영양염류(Na, Mg, K, Ca, P) 농도의 시공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Na, Mg, 그리고 K는 사구의 형태가 모래유입에 유리한 조건인 경우 공간적으로 내륙까지, 시간적으로는 더 늦은 시기까지 높거나 불규칙한 패턴이 관찰되었다. 이들 영양염류는 전사구에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비사의 유입변화와 관련이 깊다. Na의 경우 비사 이외에도 다른 유입경로도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P는 해수와 비사의 영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a는 국지적인 미지형보다 전체 해안사구시스템의 규모에서 분포의 차이가 났다.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주요 식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생물서식처로서의 해안사구 지형이 지니는 역동성을 보여주며, 추후 해안사구의 관리나 해안사구 생물의 분포와 생장패턴을 이해하는데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Keywords